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 가사 <북천가>와 <군산월애원가>는 사대부 김진형과 기생 군산월의 사랑과 이별을 공통적 소재로 한 작품이지만 신분과 젠더의 차이에 따른 상대적 시선이 발견되기 때문에 비교론적 고찰이 필요해 보인다. <북천가>는 유배가사이지만 기녀와의 ‘애정담’에 보다 방점이 있는 작품으로 소통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북천가>에서 군산월과의 만남이 시작되는 부분은 칠보산을 유람하게 되는 장면인데 작품의 중반부 정도에서 발견된다. <북천가>와 <군산월애원가>는 이 칠보산을 구심점으로 한 두 사람의 로맨스가 공통적으로 확인되는데 이별 후 기억을 재현하는 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랑과 이별을 주재할 만큼의 권력자였던 사대부는 사랑과 이별 장면을 모두 형상화하고 있지만 그 대척점에 위치한 기녀는 이별만을 반추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특히 김학사는 군산월과의 이별로 인해 사대부의 체면과 영웅성을 과시할 수 있었음은 물론 정지된 사랑의 편린들을 낭만적으로 회상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랑은 물론 이별의 과정에서도 철저하게 약자일 수밖에 없었던 군산월의 입장과 내면은 <군산월애원가>에서 확인된다. 전반적으로 극화(劇化)된 구성 방식으로 인해 이별의 슬픔과 고통에 대한 형상화의 특질이 강조되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효과적 몰입을 가능케 하고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방 권역의 여성들은 이러한 기녀의 이별 상황을 적극적으로 공감하기보다는 사대부의 시선에서 낭만적으로 로맨스를 형상화한 <북천가>의 내용에 더욱 흥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별의 객체였던 기녀에 대해서 사대부가(士大夫家)의 여성들은 여성으로서의 연대감보다는 신분에 따른 심리적 거리를 유지하며 작품을 대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기녀에 대해 타자화된 시선이 작동했기 때문에 <군산월애원가>보다 <북천가>가 더욱 활발하게 유통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북천가>에 내재된 사대부의 수직적 시선에 대해 당시 규방 권역의 여성 독자들이 거부감을 보이지 않았다는 정황 역시 가사를 흥미 위주의 독서물로 간주했던 당시의 문화적 분위기를 짐작케 하는 사례로 보인다.


This thesis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two gasa piece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Bukchunga and Kunsanwolaega, that narrate the story of love and separation of a high official, Kim Jin Hyung and ginyeo Kunsanwol as the two pieces differ in the represen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ender-oriented perspective. Bukchunga focuses more on the love story with the ginyeo than on the exile. In Bukchunga the encounter with Kunsalwol starts during the journey to Chilbo Mountain in the middle of the story. Bukchunga and Kunsanwolaega overlap at the point of the romance between the a high official and ginyeo at Chilbo Mountain, but soon differ in their memories and representation. A high official who has absolute control over love and separation describes both memories while his counterpart only reminisces the separation. Bukchunga lacks consideration on abandoned Kunsanwol or sincerity. On the other hand, the weaker party Kunsanwol’s state of mind is found in Kunsanwolaega. Kunsanwolaega delves more into separation than love as it is based on Kunsanwol’s perspective. Unlike that in Bukchunga, the separation described in Kunsanwolaega tells how Kim haksa’s final announcement causes a destructive agony in Kunsanwol’s life. The theatrical structure in particular reinforces the effect of representation and enables the reader to efficiently merge into the story. In summary, Bukchunga and Kunsanwolaega are the 19th century gasa that represent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love and separation. They are classified in exile literature and kyubang literature respectively, however they are both excellent examples of the manifold property of 19th century gasa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