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학은 민족 단위의 학술, 문화, 예술 행위 전반을 다루는 학문이다. 일제강점기 동안 민족정체성의 확립을 위한 시도는 전통 가운데 중국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일본의 학문적 자장 안에서 거리두기를 시도하면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1910년대 조선을 서술 주체로 삼았던 조선불교사 연구에 주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1910년대 권상로, 이능화, 최남선의 조선불교사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조선불교사를 재조명하면서 조선불교가 지닌 세계 불교 속에서의 위상을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불교라는 사상과 종교 단위를 넘어서 조선 문화 연구의 일환으로 조선불교를 고찰하면서 세계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조선불교에서 찾고자 했다. 이러한 논리 구성은 오늘날 한국학이 지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문제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들의 1910년대 연구 활동은 조선 역사와 문화 연구를 바탕으로 하는 조선학 연구의 일환이었다. 또한 이들의 조선불교사 연구는 민족적 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담고 있기 때문에 한국적 감성의 기원을 살필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


Korean Studies are established based on the study of Korean Nation's culture, arts, history, literature and so 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national identity untied under both the exclusion of China's influence and the overcoming of Japan's modern methodology.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the studies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n 1910s.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Lee Nung-wha, Kwon Sang-ro, Choi Nam-son's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n 1910s. They were the leading scholars of Korean Buddhism and Korean Studies beyond the religion of Buddhism itself. They also were interested in the value of Korean Buddhism which were contributed to the culture of the World Buddhism. Their logical theories are the same of the problems which confronts contemporary Korean Studies. And their Studied of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was part of the Korean Studies on Korean history and culture. Moreover, the re-constitution of Korean Buddhism incorporate Korean identities in their works. So their approach of Korean Stud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Korean e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