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로 나누어 각각의 기원과 고려 철화청자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려철화청자의 기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 성과를 고찰하고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에 대한 현지답사와 자료 수집을 통해 시각적 특징과 기법 등에 대해 보다 면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장사요는 고려철화청자의 산화철 장식 기법과 장사요의 산화철 유하채 기법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고려철화청자의 제작 배경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한반도로 유입된 장사요 자기를 모본으로 고려청자에 유하채 기법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았으나 생산 시기의 차이와 조형적 이질감 등으로 쉽게 결론을 내기는 어려웠다. 다음 월주요는 고려청자 발생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주목되지만 당송대 월주요에서 생산된 철채 청자의 수가 워낙 미량이어서 확실한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월주요 사룡구 요지에서 청자철화장고가 출토된 점과 소위 월주요계에 속하는 절강성의 온주(溫州) 구요(甌窯)나 강서(江西) 홍주요(洪州窯) 등이 모두 송원대까지 철화청자를 활발히 생산하였고 한반도에 유입되었을 가능성 또한 높은 점 등을 고려하여 고려 철화청자와 영향 관계가 있음을 유추하였다. 다음 서촌요는 철화문양이 12세기 고려 철화청자 문양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기원에 관해 편년 차이가 심해 이를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호남성 일대 송대 백매요와 형산요, 영전요의 자기에 모두 서촌요식의 화훼문이 등장하였고 북방 요주요에도 유사한 문양이 보이므로 고려철화청자에 등장하는 문양이 서촌요가 아닌 이들 가마로부터 전래되어 다양한 채회 방식으로 구현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려철화청자의 발생은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 같은 중국 특정 요장과 고려청자 요장과의 일대 일의 단선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단계와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그 밖의 남방계 요장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rigin of the Korea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of the Changsha kiln and the Yue kiln, the Xichun kiln. For the research, I explored the previous study on this field and executed the field survey of the Chinese kilns and analysed the decoration methods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at wares. Firstly, I supposed that Koryo potters made th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by modeling the ceramics of the imported Changsha kiln 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gap of production date and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Koryo celadons and Changsha wares made that assumption uncertain. Secondly, I investigated that the potters of Yue kiln which took a great affect on the production of Koryo celadon in the beginning, had made a few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during the Tang and Northern Sung Dynasty. Even so, celadon drum with iron painted decoration, similar to the Koryo celadon drum, was excavated in the Silongkou Yue kiln site. Thus I assumed that Yue kiln could be related to the origin of Koryo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Thirdly, I found that the floral motifs of series of Xicun kiln that were supposed to be affected by the Yaozhou kiln in Northern China had the common style with Koryo iron painted celadon of the 12th century. But some excavation in Korea showed that at least from the 10th century, Koryo iron painted celadon appeared, it is hardly to say that Xicun kiln should be the origin of Koryo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Finally, I concluded that Changsha kiln and Yue kiln including more Chinese kilns on various ways might be engaged in the making Korea iron painted cela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