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광주 민주화운동 30주년을 맞아 5·18 의 정체성을 되돌아보기 위해 전국 주요 일간지의 보도를 분석하여 5.18 광주민주화 운동의 언론보도의 유형과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5·18 30주년을 맞아 신문의 기사유형은 어떠한가? 신문 간에 기사유형의 차이는 무엇인가? 또 5·18 30주년을 맞아 신문 뉴스보도에 있어서 사용된 주요 뉴스 프레임의 특성은 무엇인가? 를 연구문제로 삼았다. 이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2010년 5월 3일부터 5월22일까지로 21일간 전국 주요 일간지 5·18 30주년 관련보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사유형에서 신문 별 차이를 보였다. 진보적 성향의「한겨레」와「경향신문」은 기사유형에서 기획과 해설(종합)기사가 많았으며, 보수적 성향의 중앙 일간지는 관련 기사가 적었을 뿐 아니라 유형별 차이도 뚜렷하지 않았다. 광주·전남 지역신문들은 기획, 사설, 해설, 스트레이트, 인터뷰, 사진, 칼럼/기고 등 비교적 다양한 유형을 보였다. 전국 언론의 5·18 30주년에 관한 신문보도에 주요하게 사용된 뉴스 프레임을 분석한 결과 중앙 일간지와 광주·전남 지역신문의 뉴스 프레임 간에 비슷한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었다. 대신 진보적 성향의 「한겨레」는 다른 중앙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와 달리 역사적 사실/회고 프레임을 강조하고 있다. 주목할 사실은 광주·전남 지역신문의 뉴스 프레임은 중앙 일간지와 달리 기념행사와 관련 문화행사와 각종 이벤트 등의 프레임을 강조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는 5·18 관련 단체들의 주요 행사를 알리는 역할에 지역신문이 안주하는 경향을 보여준 것이다. 의외로 추모, 인권, 진상규명 등은 주요 프레임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점은 광주·전남 지역신문의 보도에서 5·18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접근의 시도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다시 해석하면 전국 일간지 대부분은 5·18에 대한 치열한 진실규명이나 새로운 사실을 발굴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대신 기념행사와 문화행사를 통한 박제화된 기념일 이상으로 진전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daily newspaper reports and examining how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s reports could be classified in order to look back on the identity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on the 30th anniversary day. For the analysis, three different questions were selected as main factors to figure out: how the patterns of the newspaper reports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May 18 Movement could be classified; what kind of differences could be found among major newspaper reports;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news frames used for the newspaper repo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ly, the differences in news report patterns were found in each newspaper. ‘The Hangyoreh’ and ‘The Kyunghyang shinmun’, which have a progressive inclination, dealt with lots of planning news and explanation reports. Otherwise the conservative daily newspapers published in Seoul areas, just reported what happened and showed no differences of news report patterns. The newspapers published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ial regions had various types of news reporting such as planning news, editorials, explanations, straights, interviews, photos, columns or writings, etc. Secondly, the analysis of news frame mainly used in daily newspapers nationwide for the purpose of reporting the 30th anniversary of the May 18 Movement indicated that a similar kind of news frame was used in Seoul areas and Gwangju and Jeonnam local newspapers. Only the progressive ‘The Hangyoreh’ emphasized the historical fact and reflection frame unlike the other newspapers. The news frames preferred by Gwangju and Jeonnam region-based newspapers showed a distinctive attribute to emphasize the cultural and commemorative events regarding the 30th anniversary.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newspaper frames and could be resulted from the Gwangju and Jeonnam local newspapers' tendency in satisfying their current roles to report the major events of the May 18 organizations. They did not deal with reverence to the fallen, human rights, and truth revelation in their news reports. They definitely lack of new approaches to build the identity of the May 18 Movement through their news reports. In other words, the majority of newspapers could not contribute to discovering new facts and revealing the truth and they just informed of commemorative and cultural events to people. There could be found no advances in news reports regarding the May 18 Movement. The Movement reported in many newspapers were no more than a stuffed day to commemorate in our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