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신명에 기초한 한국 매체서사학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이 글에서는 서사학 일반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본 후, 매체내용 및 매체의 생산/수용 경험을 통합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매체서사학을 제안하면서 그 단초를 신명에서 찾을 수 있음을 주장했다. 이를 위해서 신명을 통해서 매체내용 및 매체경험이 접목되는 근거를 논증한 후, 한국문화에 나타난 신명의 서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신명의 서사학을 확장하고 심화할 수 있는 통시적 공시적 접근법을 제안하고, 특히 디지털시대 신명의 서사가 보여주는 가능성을 탐색했다. 이어서 하나의 적용사례로 광고 제작물 및 제작경험에 나타난 신명의 서사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명을 보편성과 특수성이 결합된 문화유전자(meme)로 보고, 문화유전자 전쟁에서 신명의 서사가 갖는 의의를 논의했다.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concept of shinmyoung underlying Korean media narratology, this paper reviewed a basic fundamental tenet of narratology and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media narratology that could synthetically investigate both contents and experience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media. After arguing that shinmyoung could integrate both contents and experiences in media narratology, this paper provided an overview of shinmyoung narrative in the Korean culture and history, suggested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es to the shinmyoung narratology, and explored the potentialities of shinmyoung narrative in the digital era.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ed an exploratory case study analyzing shinmyoung narrative in the advertisement and creative experiences of advertising. The implications of shinmyoung as a meme (i.e., cultural gene) were discussed in the lights of cultural wars in the media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