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통령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에 이루어지는 텔레비전 후보 토론회의 영향력을 두고 영·호남 유권자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편향된 인식을 제3자 효과 이론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캠페인 기간 동안 대구와 광주에 거주하는 유권자들을 상대로 두 번에 걸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는 텔레비전 후보토론회의 제3자 효과 지각과 관련된 세 가지 조건변인 즉, 메시지 호의성 지각, 수용자의 주관적인 정치지식과 선거 관여도, 비교집단과의 사회적 거리와 고정관념에 관심을 가졌다. 분석결과, 텔레비전 후보 토론회에 대한 호의성 지각 여부와 상관없이 대구와 광주 지역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자신보다는 비교집단이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지각하는 제3자 효과 지각 현상이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지식과 선거 관여도의 경우 호의적인 메시지 지각에서는 선거 관여도가 제3자 효과 지각현상을 강화시켰던 반면, 비호의적인 메시지 지각에서는 주관적인 정치지식이 제3자 효과 지각을 불러일으켰다. 마지막으로, 비교집단과의 사회적 거리와 고정관념의 경우 사회적 거리인식은 메시지 호의성 지각에 상관없이 제3자 효과(또는 제1자 효과) 지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고정관념의 경우 비교집단에 대해 긍정적 고정관념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호의적인 메시지에 대해 비교집단이 자신보다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했고, 비호의적인 메시지에 대해서는 비교집단이 자신보다 더 적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인식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ird-person(or first-person) perception of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Considered in exploring the third-person(or first person) effect were three contingent variables such as voters' perception of message desirability, self-perceived knowledge and election involvement, and social distance and group stereotype. Data came from a series of two panel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oward voters in two different regions, Daegu and Kwangju, during the 2002 Korean presidential campaign periods from October 29 to December 15, 2002.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confirmed people's third-person tendencies to attribute greater effect of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on the comparison residential group than on themselves regardless of their perception of message desirability. Second, people's self- perceived election involvement explained the third-person effect of the debates when people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candidates in the debates. However, people's self-perceived political knowledge explained the third-person effect of the debates when people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worse than the other candidates in the debates people's self-perceived. Finally, people, who have more positive stereotype of the comparison group, attributed greater effect of the debates on comparison group than on themselves when they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better in the debates. In contrast, people, who have more positive stereotype of the comparison group, attributed lesser effect of the debates on comparison group than on themselves when they perceived the candidate they support performed worse in the debates. The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and negative stereotype of comparison group had no effect of the third-person perce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