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소셜 미디어는 이용자가 늘면서 전통매체의 한계를 뛰어넘는 신종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이 매체가 선거결과와 여론에 미치는 잠재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와 서울시장선거에서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젊은 유권자들을 투표장으로 이끌었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이 맥락에서 주요신문기사와 3개 공중파 뉴스프로그램이 소셜 미디어 특성을 다룬 프레임을 분석한결과, 두 매체의 프레임 유형은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주요 신문은 “혁신적 변화”와 “득보다 실” 프레임을 자주 사용한 반면에 공중파 TV뉴스는 “공유와 결집”과 “혁신적 변화” 프레임을 강조했다. 주요 신문은 “SNS 제한적 영향,” “SNS 정치적 영향” 등 16개의 다양한 프레임을 활용했지만 TV뉴스는 “SNS 경쟁력,” “SNS 정치참여” 등 5개의 세부 프레임만 사용했다. 이밖에 TV뉴스에 비해 주요 신문은 2개 이상의 프레임을 더 자주 사용했다.


As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media has grown, social media are considered as new media tha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edia. In particular, the potentials of these media for the election and public opinion have attracted attention. Social Network Sit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are considered to lead young voter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elections and the mayoral election.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s how major newspapers and three national television news programs frame the nature of social media in news discourse. As a result, the major newspapers and the television news programs used significantly different frames. The major newspapers preferred the frames of “Innovative change” and “More disadvantages than advantages,”while the television news programs used the frames of “Sharing and gathering” and “Innovative change.” The major news papers used 16 subframes, including “Limited impact of SNS” and “Political influence of SNS.” By contrast, the television news focused on five subframes such as “Competitive edge of SNS” and “S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 major newspapers used two or three different frames more frequently than the television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