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權近은 가정 윤리의 확립을 人道 실현의 출발점으로 보았으며, ‘孝’를 가정 윤리의 근본으로 생각하였다. 권근은 『禮記淺見錄』을 통해 ‘孝’를 강조하는 자신의 윤리관을 이론화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보급하는 데에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권근의 『孝行錄』 주해는 바로 그러한 관심의 발로였다. 즉 권근은 『孝行錄』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孝行錄』의 가치, 즉 ‘孝’윤리의 보급을 통해 풍속을 교화하는 敎化書로서의 현실적․경세적 효용성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孝行錄』을 주해하였고 할 수 있다. 권근의 『孝行錄』 주해는 『孝行錄』 원문 및 이제현의 贊에 대한 주석과 권근 자신의 논평 등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이 중 권근의 경세적 입장이 반영된 것은 논평 부분이다. 논평에서 권근은 ‘敎化 효과의 극대화’라는 목적을 위해서 효행에 대한 보응의 논리를 반복․강조하였고, 常道를 뛰어넘는 효행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한편 권근은 『孝行錄』 논평을 통해 가정윤리에 국한되어 있는 『孝行錄』의 내용을 ‘治國’, 즉 국가 경영의 문제로 연결시켜 해석하였는데, 그 결과 『孝行錄』이 갖는 경세적 효용성은 더욱 높아졌다고 할 수 있다. 또 불교의 因果應報說과 火葬 제도를 강력히 비판하고 유교의례의 도덕적 우위를 강조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만연된 불교적 의례와 풍습을 유교적인 것으로 대체해 나가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


Kwon Geun(權近) thought that the establishment of family ethics was the start of realization of human morality and filial piety(孝) was the core of family ethics. Kwon Geun(權近) theorized his ethic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孝) in Yaegi cheon-gyeonrok(『禮記淺見錄』). And he annotated on Hyohaengrok(『孝行錄』) for the wide spread of filial piety(孝) in the society. Through Kwon Geun(權近)'s annotation, the value of Hyohaengrok(『孝行錄』) as the book for the education of the people was enhanced. For the maximizing effect of the education of the people, Kwon Geun(權近) emphasized the reward of filial piety repeatedly, and estimated affirmatively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which was overdone. On the other hand, Kwon Geun(權近) criticized Buddhistic reward theory(因果應報說) and cremation, and emphasized the moral superiority of Confucian etiquette for the replacement Buddhistic customs and etiquette with Confucian customs and etiqu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