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權近은 그의 대표적 저술인 『入學圖說』에서 인간 중심적인 天人合一論을 제기하고 있다. 이것은 곧 그의 철학의 중심이 天이 아닌 人에 있음을 의미한다. 인간론에 있어서도 그는 性보다는 心을 중심으로 논의하며, 心의 理的인 면을 강조한다. 그리고 천인합일에 이르는 과정에서 심에 대한 敬공부를 특히 강조한다. 아울러 四端과 七情을 나눠보고 그 所從來를 구분해보기도 한다. 이러한 점들은 조선 주자학을 연 李滉의 선구로서 손색이 없다. 그러함에도 한국 철학사에서 그의 위치는 미미하고 모호하다. 그것은 무엇보다 道統論의 관점이 끼어들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는 도통보다는 學統을 중요하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볼 때, 권근의 철학은 朱熹로부터 이황에게 이르는 朱子學 尊德性派의 흐름에 있어서 중요한 중간적 위치에 있다.


Kwon Keun suggested CheonInHabIlLon which is his anthropocentric idea in his representative book, IpHakDoSeol. It means his philosophy is not focused on Heaven(天) but on Human(人). He disputed InGanRon centering on Sim(心) rather than Sung(性) and stressed Sim(心) in its aspects of Li(理). And Kyung(敬) for the study of Sim(心) is also emphasized in order to attain the state of CheonInHabIl. Moreover, he divided into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and sorted their SoJongRae. These demonstrates that he definitely took a lead of Lee Hwang who is an initiative of JuJaHak in JoSun. In spite of these facts, his standing is ambiguous in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under the influence of DoTongLon. But now we need to put HakTong first than DoTong. In this view, his philosophy followed ZunDeXing(尊德性) School of JuJaHak that began from Zhu Xi and reached to Lee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