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근대사상은 성리학적 세계관의 와해와 서구 근대문명의 수용을 두 축으로 하였다. 보편적 세계문명으로 자리잡은 서구 근대는 문명성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이란 야만성을 동시에 갖는 야누스적인 존재였다. 근대 한국지식인은 크게 근대문명의 보편성을 중시하여 문명화를 지향할 것인가 아니면 문명의 보편성을 인정하지만 동시에 근대문명이 지닌 야만성을 극복하고 민족적 주체성을 정립할 것인가란 갈림길에 서 있었다. 서구문명을 보편으로 인식한다면 한국은 야만 상태이기 때문에 ‘계몽의 대상’으로 전락한다. 이러한 세계관을 ‘보편’으로 받아들이면 서구문명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을 넘어서 맹목적인 선망과 극복하기 어려운 열등감을 낳을 우려가 있다. 실제로 문명화론을 주장한 지식인들은 타자와 마주선 자신을 오히려 타자화시킴으로써, 스스로 ‘결핍된 타자’가 되는 문제를 유발하였다. 즉 한국은 스스로 열등한 타자 이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는 그래서 약자의 지위를 승인하고 서구 열강이나 일본의 문명화세례를 긍정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 한국 고유한 國粹 내지는 國魂에 기초한 민족적 주체성을 기반으로 서구 근대문명을 수용하려는 시도는 당연 근대 문명이 지닌 야만적 침략성을 문제삼지 않을 수 없었다. 세계적 지평에서 서구와 한국의 차이를 확인하지만, 그들의 ‘차별화’를 거부할 수 있었던 사상적 뿌리는 國粹(nationality)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유학이었다. 한국 근대 도덕원리와 경쟁원리는 근대문명성의 수용과 제국주의침략에 대한 저항이란 중층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충돌적으로 만났다. 사회진화론의 수용을 통해 優와 强을 지향하고, 경쟁 원리와 과학적 지식의 우월성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優와 强의 도덕성을 다시금 물으면서 도덕적 주체의 주재성과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유학의 도덕 보편성과 사회진화론의 생물학적 경쟁원리의 충돌과 만남은 한국이 전면적으로 서구화를 추구할 수만도 없는 현실인식을 반영하는 것은 물론 일제 침략에 맞선 한국 정체성을 정립해야 하는 근대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일정부분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즉 유학의 도덕적 성찰은 진화론이 간과하고 있던 인간의 도덕성에 대해 다시 물을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구 근대성이 지닌 야만성을 성찰할 수 있는 비판능력을 제공하였으며, 한국적 주체성을 정립하는데 일정부분 기여하였다. 이는 ‘유교가 근대사회에 어떤 역할을 할 것이며 유교를 어떻게 현대화할 수 있느냐’에 대해 나름대로 고민하고 체계화한 것으로서 사상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orean modern thought is organized with idealogical collapse of Neo-Confucianism(性理學) and acceptance of modern Occidental culture. Modern occidental culture which is conceived as the universal world culture was the Janus which had both characters of civilization of western modernization and savageness of western imperialism. In those circumstances, Modern Korean intellectual anguished the selection between modernization of modern occidental culture and national subjectiveness which is made of the conquest of savageness of the modern culture. If conceived the western culture as universe, Korea was degraded as the unit to be illuminated. So if this world view was conceived as the universe it would generate the envy of fetish rather than acceptance. So this situation would induce inferiority of Korean culture and then made acceptance of the western culture and Japan culture. And the other side, attempts to accept western culture with a basis of national subjectivity and Korean nationality naturally made a trouble of the savagery and the invasion of the western culture. In a viewpoint of general universality, the difference between western culture and Korean culture could be easily identified but the ideological root to deny such difference was Confucianism as the nationality. Confucianism could be connected with western 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self transformation and dismantlement. Moral introspection of Confucianism contributed to the process of forming the Korean subjectivity and also asked again about human morality which Darwinism missed and offered the ability to criticize about savagery of western modernization too. Morality and competition of the Korean modernization met each other during the process to solve the duplicative problems between resistance of the imperialism's invasion and acceptance of the Modern culture. So Korean modernization point to advantage and strengtheness by acceptance of the social evolution and also agreed the superiority of the competition principle and the scientific knowledge. But also Korean modernization addressed the practices of the moral subjectivity during the process of morality between social advantage and strengtheness. This is to structure about how to modernize of Confucianism and also about which role Confucianism have to 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