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稼亭 李穀의 생애와 사상을 검토한 것이다. 신진사류의 일원인 이곡이 정주학 수용이라는 사상적 변화와 원 간섭기라는 정치적 수난기를 어떻게 대처해 갔던가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곡의 생애와 사상은 신진사류ㆍ등과유신ㆍ정주학 수용기의 사상 동향 등과 관련지어 정리해 볼 수 있다. 이곡이 高門이나 世家에 대하여 他者의 인식을 견지한 점은 분명 신진사류의 것이지만, 학문적 역량을 발휘함으로써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程朱學을 수용하면서 科擧에 급제한 학자적 관인을 정통적인 정치세력으로 보는 인식이 더욱 높아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곡은 과거에 급제하고도 오랜 기간에 걸쳐 정치적 침체를 겪는데 이 점은 지방출신의 신진을 차별하는 귀족제로 인한 것이지만, 한편 그의 학문적 역량이 아직 최고의 것으로 평가받지 못한 탓도 있었다. 물론 과거급제가 당시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정주학을 수용함으로써 훈고 사장학과 이학을 구분하는 관념이 발전하고 경학에 대한 천착이 더해짐으로써 유학자들의 학문적 능력을 평가하는 층위는 보다 다양하게 되고 그 폭도 넓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당시의 평가 기준에는 家風이나 행실도 고려의 대상이었고 따라서 순수하게 학문적 능력만을 기준으로 한 평가가 아니었다는 점에서 신진에게는 분명히 불리한 측면이 있었지만, 이곡으로서는 보다 주목받을 수 있는 수준으로 자신의 학문적 역량을 높이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한편 제과급제를 거쳐 이곡이 결국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은 학문적 역량을 매개로 이루어 진 등과유신들의 정치적 결속이 출신 가문을 차별하지 않는 개방성을 가졌고, 신분적 특권이 아니라 학문적 능력과 정치적 공적이라는 이른바 사대부적 가치를 앞장 서 구현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여하튼 이곡의 삶은 신진의 한계를 극복하고 등과유신의 길을 따라 마침내 그들을 선도하는 위치에 서게 되며, 또한 이곡 같은 인재를 받아들임으로써 등과유신의 정치력도 보다 커지고 진보적인 것으로 거듭 날 수 있었던 것이다. 이곡의 학문이 제과급제를 거쳐 완성된 것인 만큼 그 학풍이나 사상적 경향은 원대 관학으로 정립된 정주학에 입각한 것이고 아울러 고려 학인으로서 가질 수밖에 없는 시대의식과 국가의식을 내포한 것으로 보았다. 이곡이 정주학을 수용한 모습은 정치적 공적 보다 도덕과 의리를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에서 단적으로 살필 수 있지만, 여러 학문 영역 중 역사를 특히 중시했던 것은 경학적 원론이나 이상론을 적용하기 어려운 정치적 환경으로 인하여 보다 현실적인 교훈을 찾고자 한 것에서 비롯된 경향으로 당대 고려 학인들의 학문 동향과 연결되는 것이다. 군자의 등용을 강조한 군자정치론에서도 마찬가지의 경향을 찾을 수 있다. 이곡의 불교에 대한 인식은 韓愈의 비판론ㆍ朱子의 이단론과 고려의 불교 국가적 전통ㆍ불교의 현실적인 영향력을 절충한 것으로서 排佛論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당시 유학자들의 평균적인 인식에 가까운 것이다. 정주학의 이해에 각별한 소양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이곡의 사상이 이렇게 현실에 따른 변모 양상을 보이게 된 것은 관인으로서 정치 현실에 따라 사상적 대응을 조정해 가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곡이 견지한 민본의식 자체는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民風의 묘사에서 드러나는 애민의식은 비록 관인의 시각이 틈입하고 있지만 핍진함이 있으며 신진사류의 의식을 잘 보여준다. 군자의 등용을 강조한 것도 결국 백성을 잘살게 하는 정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었던 만큼 민본사상은 이곡의 정치사상 중 가장 중요한 것이었음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곡이 유가의 명분론과 아울러 효 근본주의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충 의리로 귀결되는 춘추의리 및 주자학적 인식과는 차이를 드러내고 있는데, 그러한 입장이 귀족제가 부과한 정치 사회적 단층에서 비롯된 점이 있는 만큼 귀족주의를 비판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음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기심성론에 대한 사변적 논의는 이 시기 다른 유학자들에게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지만 이곡에게서도 人心과 道心을 구별하는 간단한 논의를 찾아 볼 수 있는 정도이다. 또한 이곡의 경우 聖人과 修身을 보편적 가치로 거론하기보다 성인ㆍ현인ㆍ군자의 실상을 역사적 조건 속에서 살피는 역사주의적 경향이 현저한데, 모두 현실주의적 자세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당시 유학자들의 논의가 어떻든 정치에서 중요한 것은 왕권의 정통성이 아니라 민생이며, 또한 모든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高官되는 것이었고 자신도 불가불 그럴 수밖에 없다는 민본주의와 현실주의가 理氣心性과 聖人에 대한 사변적 논의를 배제한 측면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환로의 험난함을 경험할수록 빈틈없는 처세가 요구되었고 난세에 처하여 관인으로 머물기보다 處士의 삶을 희구하면서 歸去來를 노래하게 되지만, 정치의 문제는 결국 동료 유학자 관인들의 정치력을 높임으로써 해결해 갈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였다. 이때 다시 後漢代의 黨錮의 禍를 살펴보고 있는 것에서 신진사류로서 이곡이 처세의 문제에 얼마나 유념하였던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이곡의 행적과 사상활동에서 ‘그 성품이 단엄 강직하여 사람들이 존경하였다’는 列傳의 평가를 확인하게 되거니와 신진사류의 성장과 등과유신의 정치세력화가 합류하는 모습을 살필 수 있는 것이다.


Lee Gok was excellent scholar who had been lived in the period of Yuan interference. At that time Goryeo accepted neo-Confucianism. He came from country and was a rising government official. Even havi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 outstanding grade, at first he could not success in political area. Because Goryeo had the regime of aristocracy. But finally he could succes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f Yuan. At that time the group of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were thought only orthodox power party. And they agreed on that the ability of scholarship was most important in politics. His base of learning was neo-Confucianism, because in those days it was the orthodox ideas of Yuan. On that account Lee Gok esteemed morality more than any political achievement. But in his real thoughts, he valued history above every subjects else. For the political environments when he played active part, were seriously difficult. So the idea of Confucian classics could not be carried.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instruction was more important teaching for political flexibility. As other scholars on those days, he esteemed to engage men of honor more than another political business. And his critical discussions on Buddhism were different from the ideas of excluding it. He thought that people were the foundation of state, and then for the prosperity of people politics should be existed. In his ideas, the problems of Royal orthodoxy were not important in spite of looking up that filial piety was the source of all virtues. In his literary works, we can find the highbrow discussions of neo-Confucianism very few. Because he thought that the poverty of people could be incurable by them. Like these, the special features of his ideas were actualism, historicism and the principle of loving people. He had taken up like those tendencies, for he were a rising officials of state. And for he could be influenced by the reality of power. One side he criticized wrong power men, on the other side he had been very cautious for the secret of success in life. By the case of Lee Gok, we can find the rising of gentry from country and the growing power of the group that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his life and thoughts, about two sections were related closely.


Lee Gok was excellent scholar who had been lived in the period of Yuan interference. At that time Goryeo accepted neo-Confucianism. He came from country and was a rising government official. Even havi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 outstanding grade, at first he could not success in political area. Because Goryeo had the regime of aristocracy. But finally he could succes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f Yuan. At that time the group of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were thought only orthodox power party. And they agreed on that the ability of scholarship was most important in politics. His base of learning was neo-Confucianism, because in those days it was the orthodox ideas of Yuan. On that account Lee Gok esteemed morality more than any political achievement. But in his real thoughts, he valued history above every subjects else. For the political environments when he played active part, were seriously difficult. So the idea of Confucian classics could not be carried.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instruction was more important teaching for political flexibility. As other scholars on those days, he esteemed to engage men of honor more than another political business. And his critical discussions on Buddhism were different from the ideas of excluding it. He thought that people were the foundation of state, and then for the prosperity of people politics should be existed. In his ideas, the problems of Royal orthodoxy were not important in spite of looking up that filial piety was the source of all virtues. In his literary works, we can find the highbrow discussions of neo-Confucianism very few. Because he thought that the poverty of people could be incurable by them. Like these, the special features of his ideas were actualism, historicism and the principle of loving people. He had taken up like those tendencies, for he were a rising officials of state. And for he could be influenced by the reality of power. One side he criticized wrong power men, on the other side he had been very cautious for the secret of success in life. By the case of Lee Gok, we can find the rising of gentry from country and the growing power of the group that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his life and thoughts, about two sections were related clos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