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 조선 유학사 연구는 서구 근대의 학문관에 기초한 학문분류 및 분석을 선호한다. 그러나 조선 유학은 도학 실천을 중심으로 한 학문이며, 성학이라는 실천 목표로 포괄된다. 따라서 조선 유학에 관한 분석은 철저히 조선 유학 혹은 주자학, 도학 등의 학문 자체 논리에 입각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학문분류 개념인 이학, 심학, 도학, 성학 등은 학파의 구분을 넘어 내용을 중심으로 한 분류이며, 위기지학을 전제로 한다. 각각의 개념은 자체로 완결된 체계를 가지며, 서로는 중층적으로 맞물려 있고, 이학과 심학이 서로의 始終이 되어 순환적으로 검증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학과 심학을 중심으로 전 사상을 평가하거나 추정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런 맥락에서 조선 도학을 “이학-심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해야 한다고 본다. 조선 유학을 대표하는 퇴계와 율곡의 성학 혹은 도학 체계는 이러한 구조를 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있다. 理氣의 互發 속에서 尊理의 당위를 강조하는 퇴계의 『성학십도』는 이학과 심학을 이원적으로 배치하면서도 心學, 즉 敬을 중심으로 일관시키고 있는 반면 一途說을 주장하는 율곡의 『성학집요』는 成己成物이라는 일원적 도학의 당위성 속에서 閑邪存誠의 矯氣質論을 구성하여 誠意의 틀로 논의를 일원화한다. 양자의 공통점은 동시대 도학자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차이점은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학설 혹은 도학 실천의 방법이 달랐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율곡은 특히 퇴계의 호발설을 비판한 바 있는데, 이는 바로 이러한 도학 실천 방법의 차이에 따른 것이었다. 이학은 심학의 전제이며 심학은 다시 이학으로 검증되고, 도학으로 확장된다. 그러므로 율곡이 퇴계의 호발론을 비판했다는 것은 퇴계의 호발론이 그가 구상하는 일본의 일관된 논의의 근거가 되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사단칠정 혹은 인심도심논쟁은 단순한 형이상학적인 인간학의 대상이 아니라 주체적 실천의 문제에 집중된 심학 혹은 도학 실천 방법론의 대립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조선 주자학을 심학에 근거하여 전체 체계를 일관시켜 다루어야 하며, 내성외왕의 어느 한 쪽만을 분리하여 이론적으로 천착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study on Chosun Neo-Confucianism is based on modern western study categorization. But Chosun Confucianism was the system for realization of their idea for Tao or Sage. It is out of western study category. It is the reason why we should study Chosun Confucianism or Neo-Confucianism in its own context. Traditionally, Neo-Confucianism has correlated system. One theory -traditionally, called “~ study(學)" - has the self-sufficient system and piled up another one. The theories of Li(理) and Xin(心) are the core of those theory, and they are the other's base and result at the same time. So the core of Neo-Confucianism should be these two theories. The studies of Li(理) and Xin(心) of Toegye and Yulgok, the prominent scholars of Chosun Confucianism, may confirm this systemic correlations. They designed their representative works, SeongHakSipDo and SeongHakJipYo, based on their studies of Li(理) and Xin(心). Toegye designed his work dualistic system, pointing Li and running through piety Xin, showing majesty of Li. Yulgok designed unitary system showing appropriateness of TaoXue(道學), perfecting of others through perfection of Self(成己成物). They pursuit the realization of Neo-Confucian idea in common but their way to fulfill their common idea was different. The differences of their studies on theory and practice may be found this point. This explains why we should study Chosun Confucianism in the point of Study of Xin, not theory of Li. The Focus of Chosun Confucianism, especially Four-Seven Debates, is not the metaphysical theory of Humanity but the Self trying for realizing the world of Tao, in this poin of view. It can be asserted at the result that we should study Chosun Confucianism as a whole practical system not the theory of perfection of Self neither realization of Neo-Confucian id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