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조 대 이래 서인들은 이이와 성혼의 문묘종사를 성사시키기 위해 집요하게 노력을 기울였다. 그런데 성혼은 남인・북인으로부터 기축옥사를 부당하게 확산시켜 원통한 죽음을 많이 야기한 소인배라는 혐의를 받고 있었고, 서인들은 이러한 혐의의 확산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었다. 성혼에게 덧씌워진 왕법과 명교의 죄인, 원옥(冤獄)을 확산시킨 소인배라는 혐의를 해소하지 못하면 성혼의 문묘종사는 명분을 마련할 수 없었고 결국 성사되기 어려웠다. 서인 학통(學統)의 연원이라 할 이이와 성혼을 함께 문묘종사 함으로써 자신들의 학문적・정치적 정통성을 확고히 하고자 하였던 서인은 성혼이 받았던 의혹을 함께 대처하여 풀어야 할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였다. 이에 기축옥사의 성격을 ‘역옥(逆獄)’으로 규정하고 당시 성혼의 행적을 타당한 것으로 옹호하는 내용이 서인의 통일된 당론으로 마련되었다. 이 일은 윤선거・송시열을 필두로 한 서인 공동의 작업으로 이루어졌고, 「우계선생연보후설(牛溪先生年譜後說)」(1648)과 『율곡우계이선생연보(栗谷牛溪二先生年譜)』(1665)는 그 결과물이었다. 전자는 성혼을 둘러싼 의혹에 대해 성혼의 외손자인 윤선거가 스승인 김집에게 질정한 내용을 문답 형식으로 작성한 것이었고, 후자는 송시열이 편차 보완한 이이의 연보와 윤선거가 보완한 성혼의 연보를 합간한 것이었다. 서인 공동의 당론이 마련됨으로써 성혼의 위상은 재정립되었고, 숙종 8년 성혼은 이이와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그러나 예송(禮訟)과 회니시비(懷尼是非)를 거치며 표면상 굳건한 것으로 보였던 서인의 결속력은 그 내부에서 흔들리고 있었다. 서인 학문의 적통(嫡統)을 자부하였던 송시열은 윤선거・윤증 부자 대립하면서, 그들의 외가이자 소론의 학문적 태두가 되는 성혼에 대한 의혹을 다시 소환하였다. 논란은 기축옥사 당시 성혼의 행적뿐만 아니라 성문준, 신응구, 윤선거 등 성혼의 후손과 문인들의 문제, 성혼과 이이의 우열(優劣) 문제 등으로 전이되어 가며 새롭게 증폭되었다. 노・소 분기 과정에서 이 문제와 관련하여 보여준 송시열의 문제의식과 대응은 춘추 의리와 도학(道學)의 정통성을 교란시켰던 북인・남인에 이어 소론이라는 또 하나의 난신적자(亂臣賊子) 집단을 축출해야 한다는 소명의식에서 발로된 것이었다. 성혼 및 그 문하의 정치적 행적에 대한 의혹이 재점화 되면서 서인의 당론은 다시 분열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서인 내 노론과 소론의 정치적 분화 과정과 밀접히 연동하며 전개되어 나갔다.


Since the period of King Injo, Sŏin put in an intensive effort in order to enshrine Yi I and Sŏng Hon in the Confucian shrine (munmyojongsa). However, Sŏng Hon was accused by the Nam-in and Buk-in as a petty person who played anrole in causing mortifyingdeaths by unduly expanding Kich’ukoksa. Some members of the Sŏin also agreed with this accusation. Therefore, he had to clear this accusation before being enshrined in the Confucian shrine. In the effort to enshrine Sŏng Hon in the Confucian shrine along with Yi I who is considered the scholastic mantle of the Sŏin, the Sŏin recognized the accusation towards Sŏng Hon as a problem that they had to resolve together, as they were seeking to firmly establish their own scholarly and political legitimacy. In so doing, they defined the nature of Kich’ukoksa as an incident of imprisoning a traitor and defended Sŏng Hon’s actions. This became the unified platform of the Sŏin. Such platform was accomplished in a joint effort of all Sŏin, led by Yun Sŏn-gŏ and Song Si-yŏl, and it manifested as the “After Story of the Annals of Teacher Ugye” (Ugye sŏnsaeng yŏnbo husŏl, 牛溪先生年譜後說, 1648) and “The Annals of Two Teachers, Yulgok and Ugye” (Yulgok Ugye i sŏnsaeng yŏnbo, 栗谷牛溪二先生年譜, 1665). The former was written in the question and answer format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between Yun Sŏn-gŏ, grandson of Sŏng Hon, and Kim Chip, his teacher, regarding the accusation surrounding Sŏng Hon. The latter was a combined publication of the annals of Yi I edited by Song Si-yŏl and the annals of Sŏng Hon supplemented by Yun Sŏn-gŏ. By arranging this common platform of the Sŏin, Sŏng Hon’s status was reestablished, and in the eighth year of King Sukchong, Sŏng Hon was enshrined into the Confucian shrine (munmyo) along with Yi I. However, the solidarity of the Sŏin which seemed to besteadfast was actually trembling from the inside, undergoing Yesong and Hoenisibi. Song Si-yŏl, who was confidently called the main line of descent of the Sŏin scholarship, confronted the father and son Yun Sŏn-gŏ and Yun Chŭng, bringing back the accusation towards Sŏng Hon who was their ancestor on their mother’s side as well as the scholarly authority of the Soron. Such critical confrontation of Song Si-yŏl began from his vocation to drive out the Soron as treacherous subjects, following the expulsion of the Buk-in and Nam-in who had disturbed the legitimacy of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as well as Taoism. The platform of Sŏin once again split as the accusation towards the political actions of Sŏng Hon and his followers reignited. This conflict developed a close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political divergence between the Noron and Soron within the Sŏ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