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우하영이 지은 『천일록(千一錄)』의 사상사적 위상을 17·8세기 조선에서 대두한 경세학의 흐름과 연관하여 살폈다. 이 시기에 펼쳐진 경세학은 국가 체제의 전면적 개혁을 구상하는 흐름과 기존 체제의 틀을 그대로 유지한 채 여러 제도와 법제에서의 수정과 보완책을 마련하려는 경향으로 대별된다. 전자의 경우로는 유형원의 『반계수록(磻溪隋錄)』, 홍대용의 『임하경륜(林下經綸)』을 거론할 수 있고, 후자의 사례로는 유수원의 『우서(迂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이들 작업을 통하여 조선의 법·제도와 정책, 풍속과 인심을 탐구하고 이 영역에서 나타나는 문제의 해결책을 찾으려 했다. 또한 위정자와 관료들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태도는 어떠해야 할 것인지를 탐색했다. 인간과 세계, 정치와 국가, 법과 도덕의 범주와 상호 관계를 고민하고 재구성하려는 노력이 이 과정에서 축적되었으며, 그리하여 조선의 학술계에는 이전에 볼 수 없던 지적 경계의 확장이 일어나고 있었다. 『천일록』또한 경세학의 맥락 위에서 살필 수 있다. 우하영은 국가 체제의 전면적 개혁보다는 기존의 체제 질서가 무너지는 것을 방비하고 보수하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이 책에서 정치 개혁은 현실에 맞추어 진행해야 한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법과 형벌의 적극적 운용을 중시하고 군주의 권한을 강화하여 변화를 도모할 것을 구상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on with history of ideas of “Cheonilrok(千一錄)” written by Woo Ha-young(禹夏永) with the line of the flow of statecraft theory which was beginning influential around 17·18th century in Joseon. Statecraft studies in those time generally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 first one can be a trend that make drastic reforms in the country’s system, which is clearly represented in “Bangye-surok(磻溪隨錄)” written by Yu Hyeong-won(柳馨遠) and “Imha-gyungrun(林下經綸)” written by Hong Dae-yong(洪大容). The second trend is differentiated with the first one in terms of maintaining the existing system with several modifications and complementary measures. “Useo(迂書)” written by Yu Su-won is an example for the second trend. “Cheonilrok(千一錄)” can be investigated with the line of statecraft theory. Woo Ha-young is seen a scholar who had more concerns for a prevention against a breaking of the conventional system and a maintenance of it. Woo Ha-young highly regarded the application of the law and punitive measures based on an idea that political operation is needed to be managed with a reality. Also, he planned to strength kings’ authorities. These aspects are contrasted with other political economy papers around 17th and 18th century which argue a drastic change of Joseon dynasty. However, Woo Ha-young has common aspects with ideas of namin(southern faction) which also highlighted the king’s authorities and a role of the law and punitive actions. The position of “Cheonilrok(千一錄)” and interesting aspects of Woo Ha-young’s thoughts are represented in this con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