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는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에 대한 상세한 주해(註解)이다. 「숙흥야매잠」은 하루의 공부 방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이상적인 방식으로 묘사하고 규정하여 둔 글로서, 기본적으로 주자학(朱子學)을 그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배경으로 삼고 있다. 그것은 중국 절강성(浙江省) 출신인 남당(南塘) 진백(陳栢)에 의해 창작되고 이후 주로 그 지역 출신의 학인(學人)들에 의해 중시된 지역적 특색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른바 금화주자학(金華朱子學)의 형성 및 전개와 관계가 깊은 문헌이다. 소재는 그것을 정단례(程端禮)의 『독서분년일정(讀書分年日程)』을 통해 접한 것으로 추정되며, 퇴계(退溪) 및 하서(河西)와 서신 교환에 의한 대화를 통해 주해 작업을 완성하였다. 퇴계가 『성학십도(聖學十圖)』를 편찬하면서 그 내용을 반영한 것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숙흥야매잠해」는 조선의 공적(公的) 및 사적(私的) 교육이 주자학을 기준으로 하여 구축되어 가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소재는 그것을 통해 주자학(朱子學)을 실천 심학(心學)에 초점을 두어 해석하고 발전시켰다.


The “Sukhungyamaejamhae夙興夜寐箴解” of Sojae穌齋 Noh Susin盧守愼(1515-1590) is a detailed commentary for “Sukhungyamaejam夙興夜寐箴”. “Sukhungyamaejam” is an essay which describes and defines the ideal way of learning to be a sage according to the time flow of the day. It basically has Jujahak朱子學 as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background. It is written by a scholar of Zhejiang浙江 Province in China, Nantang南塘 Chenbai陳栢, and mainly treated importantly by the scholars born in that region. It may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and evolution of Jinhuazhuzixue金華朱子學. With some reasons we can construe that Sojae has taken it from ChengDuanli程端禮(1271-1345)’s famous work Dushufennianricheng讀書分年日程. Sojae completed “Sukhungyamaejamhae” through some dialogues with Toegye(退溪) and Haseo(河西). “Sukhungyamaejamhae” had some effect on the building of educational system in Chosun which took Jujahak as its standard ideology. Sojae interpreted and developed Jujahak with a focus on the practical Simhak(心學) through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