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야제국에 대한 연구는 그간 김해의 금관가야와 고령의 대가야 중심의 연맹체적 해석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 때문에 아라가야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하지만, 아라가야의 중심고분군인 도항리고분군에는 4세기 중엽 이후에 대형 목곽묘가 조영되기 시작하고, 이어서 5세기 초엽~중엽에는 대형봉토고분의 매장주체부로 수혈식석곽묘가 축조되는데, 동시기 금관가야에 비해 탁월하며, 대가야와 비교해도 대등한 수준이다. 아라가야의 성장과 발전은 묘제의 변화과정에 나타나 있으며, 아라가야의 최전성기의 묘제인 수혈식석곽묘의 연구를 통해 당시 아라가야 발전기의 대외정세와 지배층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경향은 유물중심의 편년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묘제는 목곽묘에서 횡혈식석실묘에 이르는 통시적인 연구경향이 강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아라가야 수혈식석곽묘를 중심으로 성장과 발전을 논하기 위해, 앞 시기의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를 관곽의 개념을 적용하여 유형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유형화 결과, 목곽묘와 수혈식석곽묘는 각각 4개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수혈식석곽묘의 상위위계인 ⅠㆍⅡ유형은 다시 규모, 순장형태, 부장유물의 질적 차이 등에 따라 Ⅰ유형은 3개의 소유형, Ⅱ유형은 2개의 소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아라가야의 5세기 대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에는 순장이 시행되었으며, 마갑과 철제 갑주류 등의 상당한 위세품의 부장되었다. 이는 아라가야 성장의 외적표현이 수혈식석곽묘의 축조와 동시에 나타난 것을 말하는 것이다. 수혈식석곽묘 Ⅰ유형의 유형분화 양상은 아라가야의 王과 그 아래에 上ㆍ下旱岐층의 존재와 대응되는 것으로, 수혈식석곽묘의 유형화를 통해 파악된 지배층의 분화양상은 아라가야의 정치적 성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적 현상으로 파악된다.


The research on the Gaya Empire has been interpreted as confederacies of the center of Geumgwan Gaya in Gimhae and Dae Gaya in Goryung, due to that, Ara Gaya has been lacking research. However Dohangri tombs which is center of Ara Gaya’s tombs started up construcitng the large wooden outer coffin since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and then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As the principal part of large fief of burial tumulus , stone –lined pit burial tomb was constructed. That is excellent compared to Geumgwan Gaya and is the same level compared to Dae Gaya. The growth an development of Ara Gaya appeared in the process of change of burial. By researching of the stone-lined pit burial which is the peak of Ara Gaya, l could look through the foreign situation and the ruling class of Ara Gaya in those days. However, the recent studies tend chronological study of the artifact-centric and the research of the burials have tendency to be diachronic study from wooden outer coffin to stone chamber tomb with tunnel entrance.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make typology by applying to the previous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as the concept to coffin to discus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one-lined pit burial in Ara Gaya. As a result of typology, wooden outer coffin and stone-lined pit burial could be divided into 4 types,1,2Ⅰ,ⅠⅡ type of upper hierarchy in stone-lined pit burial tomb subdivided into two types, depending on the scale, the form of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the qualities of director’s remains:Ⅰ type into three small types,Ⅱ type into two small types stone-lined pit burial tomb Ⅰ type in Ara Gaya in the 5th century was performing burial of the living with the dead and was buried with considerable prestige goods such as bard and iron armor. This is to say that the outward expression of Ara Gaya growth appeared simultaneously with the construction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The differentiation type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corresponding to the presense of king(王) of Ara Gaya and the below strata(上-下旱岐層). At last, the differentiation of the elites through the typology of stone-lined pit burial tomb is realized important archaeological phenomenon which was showing the political grow go Ara Ga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