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Korean missionaries. To do so, I look at the subject in a couple of different ways. After providing with an overview of Korean missionaries, I use two social factors of grid and group which were first suggested by Mary Douglas and used by Sherwood Lingenfelter. I, then, use four frames of organizations.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they fall into the categories of the bureaucratic and the individualist type and provide the basis of the argumen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dentity of Korean missionaries. To do so, I look at the subject in a couple of different ways. After providing with an overview of Korean missionaries, I use two social factors of grid and group which were first suggested by Mary Douglas and used by Sherwood Lingenfelter. I, then, use four frames of organizations. The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they fall into the categories of the bureaucratic and the individualist type and provide the basis of the argu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 가능하도록 한국인 선교사를 살펴보는 것이 다. 먼저 최근 통계를 사용하여 한국인 선교사들에 대한 개괄적 설명 을 하고 난 뒤에 세 가지 다른 방법을 통해 한국인 선교사를 심층적으 로 살펴보았다. 우선 메리 더글라스가 제시하고 셔우드 링겐펠터가 널 리 사용한 그리드와 그룹이라는 두 가지 사회적 요인들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로, 조직의 네 가지 형태를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인 선교사의 생애를 투사하였다. 본 연구는 어느 단체에 속한 특정 그룹이 아닌 한국인 선교사 일반 을 묘사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한국인 선교사 개개인의 특징이 아닌 문화적으로 한국적인 공통점을 찾아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관심이 었다. 본 연구는, 그리드와 그룹 요소를 따를 때, 한국인 선교사들이 관료적 형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부는 개인주의적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고 보며 조직의 네 가지 형태를 사용하여 한국인 선교사들을 심층 연구하며 비한국인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에 대해 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