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거리의 아동에 대한 교회의 관심을 촉구하고 이들을 위한 교회의 선교실천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거리의 아동 현황과 이들이 직면한 문제를 파악하고, 관련한 국제사회와 단체의 지원활동을 분석하여 성경과 선교신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거리의 아동선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접근원리를 제안하였다. 거리의 아동은 세계적으로 1억 명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이 직면한 문제는 극심한 가난, 교육기회 상실과 안전보호체계 부재, 질병의 위험, 폭력, 납치 학대의 위험, 노동착취, 각종 범죄와 마약 도용 및 성매매의 위험, 일그러진 인성형성, 사회의 부정적 시선 등이다. 거리의 아동은 차별과 비인권적이고 비인간적인 처우 가운데 자신의 가치와 존엄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극도로 열악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살아가고 있다. 외부적 도움이나 개입이 없으면 이들의 희망을 잃고 사회의 부담으로 전락하게 된다. 거리의 아동을 위한 지원은 정부기관과 민간단체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그것은 교정과, 재활, 봉사 및 예방적 유형으로 구분된다. 거리의 아동을 위한 지원은 구출과 상담, 치료와 재활, 숙소와 교육기회 제공, 자매결연 등으로 요약된다. 거리의 아동을 위한 국제사회와 단체 및 기구는 다양한 형태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에 불구하고 거리 아동 통계집계의 한계, 국가와 사회의 상황적 한계, 가정의 한계, 문화적 한계, 접근방식의 한계 등의 요인으로 인해 거리의 아동 지원의 효과를 극대화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국제사회와 기구 및 단체와 더불어 거리의 아동을 위한 사역을 전개해야 할 당위성을 역사적 실례인 주일학교와 구약과 신약성경의 교훈 그리고 로잔운동 문서를 통하여 발견하게 된다. 성경과 로잔문서는 거리의 아동을 위한 사역에 왜 참여해야 하는지, 무엇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제시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거리의 아동을 위한 선교원리를 4가지로 제시하였다. 교회는 거리의 아동 선교사역을 위해 거리의 아동과의 신뢰형성을 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하고, 거리의 아동의 발생 요인과 상황에 따른 맞춤식 접근이 필요하고, 거리 아동의 전인적 역량 강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과 통전적 접근을 시도해야 한다. 세상에서 가장 열악한 환경에서 가장 어렵게 살아가고 있는 거리의 아동에 대한 교회의 선교적 책무를 다시 강조하며, 이에 대한 교거리의 아동을 위한 선교 l 87 회의 관심 촉구와 교회 공동체의 인식제고 및 실질적 참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코디네이션 기관 설립 또는 조직 구성을 제안하였다. 거리의 아동의 위기상황을 조속해 해결하기 위해 가용자원 개발과 동원을 위해 교회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과 이를 통한 사회문화적 변혁의 동인자로서의 교회의 역할도 주문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urge the Church's concern for street children and to seek a mission practices of the church for them. For this, current situation of street children, the problems and effects of street children, supporting activities related to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have been analysed and from this, principles of mission for street children have been sought from the biblical and missiological foundation. The number of the street children are reached 100 million globally an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problems street children experiencing are extreme poverty, lack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unsafe protection, the risk of disease, violence, and the risk of kidnapping abuse, labor exploitation, various criminal and drug abuse and the risk of prostitution, distorted personality formation, negative label of society. The street children are not getting recognized his worth and dignity of human rights and living in extremely dangerous situations with discrimination and inhuman. If there is no external help or intervention, street children will be losing their hope and becoming tumble at the expense of society. Various supports for the street children have been made by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sectors. It is classified as correction and rehabilitation, outreach and prevention. Supports for street children are summarized in the rescue and counseling,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rovision of accommodation 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including twinning. In spite of its best efforts for street children in a variety of form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were not a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support of street children due to factors such as limitations of statistics aggregation of street children, situational limitations of state and society, the limits of family system, cultural limits and the limit of the way of approach to the issue. In such a situation, the necessity of a ministry of the Church for street children is found with historical examples of the Sunday School, lesson of the Old and New Testaments and the documen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Lausanne Movement. Why should the church involve in the ministry for street children and how and what the church can to are presented in the Bible and Lausanne documents. This study has suggested principles of mission practice for street children in four: Building a trust relationship with street children, customizing the way of approach according to the causes and circumstances of each street child and empowering street children and approaching with holistic perspective. This study emphasizes again the missionary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for street children living in the most difficult and harshest environments in the world, and thus the interests and awareness of the church community and participational substantiality. For the church to act as a core missional institution within the society to develop and mobilize available resources in order to promptly solve the crisis of street children and to become a dynamic factor of socio-cultural transformation were or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