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 환경의 변화 즉 정치, 경제, 군사, 교육, 종교, 문화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한국은 다문화사회로의 급속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변화는 직접, 간접으로 교회에 영향을 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교회의 내부와 외부의 상황변화는 새로운 신학과 교회의 패러다임 변화를 강제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국교회가 현재 세대와 다음 세대를 변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 지금의 한국사회 즉 한국적인 상황은 새로운 교회의 변화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교회를 돌아 볼 때 1995년 기준으로 정체되기 시작해서 지금은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교회의 신뢰도와 호감도 그리고 영향력은 다른 종교와 비교해서 볼 때 최하위를 나타내고 있다. 반면에 한국교회가 사회에 대한 봉사는 최고 수준으로 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먼저 현대 한국사회에서 선교적 교회로의 변화를 견인하고 있는 사회의 변화와 특징에 대해 관찰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선교적 교회와 관련하여 한국사회의 문화 변화가 갖는 특징으로 첫째는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의 빠른 변화이다. 둘째는 한국에서 청년세대는 3포 세대를 넘어 7포 세대를 느끼고 있다. 셋째로 한국사회는 초고령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넷째로 한국사회는 기업경영의 경쟁과 변화의 시대이다. 이렇듯 한국사회는 전 계층, 전 분야에서 급속한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있다.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그 변동에 따른 교회의 반응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로 교회의 대 사회적인 영향력이 감소되고 교회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확산되고 있으며 청년들이 교회에 관심을 갖지 못하고 떠나고 있는 현실이 되고 있다. 교회는 지상명령을 성취하기 위해 선교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는 시대를 수용하여 변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선교적 교회 패러다임의 구조로 개편되어야 한다. 한국교회가 변화의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어떠해야 하는가? 한국교회는 1) 하나님과 사람중심의 교회, 2) 예배성수중심의 교회, 3) 수요자중심으로 전도하는 교회, 4) 다음세대와 연속하는 교회, 5) 가정교회를 뿌리로 하는 공동체교회, 6) BAM사역을 지향하는 교회, 7) 다문화사회를 변혁시키는 교회, 8) 다민족 사회를 전도하는 교회의 패러다임을 가져야 한다. 이 모든 선교적 교회의 원리와 방법을 알고 있음에도 실행하여 열매를 맺지 못하는 이유는 교육과 훈련이 되어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는 행함에 강조점을 두고 선교적 신학이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 그리고 선교적 목회가 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을 힘써 지켜야 한다.


Korea is currently rapidly transform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changes in political, economic, military, educational, religious and cultural factors which factor into larger global change. Such transformations in Korean society are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ing the church. As a result,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the church call for a new paradigm both theology and ecclesiology. In other words, the Korean church must seek out a new model that could transform both the old and new generations. The situation in Korean society requires such a change. When one examines its history, the Korean church has been on a downhill slide since 1995, and today, the church has become noticeably weakened. In addition, evidence shows that the public shows the least amount of trust, average positive feelings towards Christianity relative to other religions, and the church exercised the lowest amount of influence. On the other hand, research also shows that the church performs the most amount of community service. Firstly, it i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changes that call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church into a more missional paradigm. The first characteristic of Korea's cultural change that is relevant to missional ecclesiology is that Korea is quick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Secondly, the Korean youth are becoming what experts call the Sampo Generation (the generation that gave up 3 things that make one an adult; dating, marriage, and having children) or the Chilpo Generation (the generation that gave up 7 things; dating, marriage, having children, buying a home, human relations, one's dream and even hope). Thirdly, Korea is going through serious levels of aging. Lastly, we have entered an age of change with regards of competition amongst corporations and management. In short, the nations in the middle of rapid transformation, and because all these social changes are progressing at such a rapid pace, the church is showing difficulty in keeping up. The resulting reality is churches whose influence on society has been deteriorating and a growing number of young men and women that lose interest and leave their respective communities. In order to fulfill the Great Commission, the church must take up its calling for mission, and in order to do so, the church must be reformed into a new missional ecclesiology which is capable of bringing about change, and embraces the new era. Then what must this new missional ecclesiological paradigm look like? The Korean church must first be a community that is centered round love and God, that keeps worship service, evangelizes to prospective customers, continues onto the next generation, is a communal church which is rooted in the domestic church, which focuses on BAM (Business as Mission), reforms multi-cultural society, and makes disciples of all nations. The reason why we cannot see fruit despite knowing all the principle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we put them into action is because we have not been properly trained and educated. Therefore, the Korean church must put heavy emphasis on action and put more effort into training and education for missional theology, missional ecclesiology and a missional min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