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대승불교에서 이미지를 어떻게 보고, 어떻게 평가하는가하는 문제를 대승경전을 통해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진행된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라마집이 번역한 금강경에서 구라마집은 니미따(nimitta)도 相으로 옮기고 있고 락샤나(lakṣaṇa)도 相으로 옮기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이 想으로 번역한 삼즈냐(saṃjñā)도 相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 산스크리트어 용어들은 조금씩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적어도 구라마집에게 있어서는 相이란 용어로 뭉텅그려 번역할 수 있는 공통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대적 관점에서 구라마집이 보았던 그 공통점은 이미지란 개념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金剛經』에서는 ‘이미지’에 상당하는 개념인 相에 속하는 니미따(nimitta)․락샤나(lakṣaṇa)․삼즈냐(saṃjñā)를 모두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런 부정적인 관점은 금강경에서 재현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지 이미지 전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금강경 第三十二 應化非眞分에서 긍정적인 관점에서 제시되는 몽환포영(夢幻泡影)의 내용은 시뮬라크르적 이미지와 통하는 내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금강경에서 재현이미지인 相은 부정하고 있지만 일체가 몽환포영(夢幻泡影)과 같다고 하여 일체의 존재가 시뮬라크르적 이미지라고 보는 것이다. 이런 점은 『마하반야경』에 나타나는 ‘색즉시환 환즉시색(色卽是幻幻卽是色)’ 이란 말 속에서도 잘드러난다. 모든 것이 幻이라는 것과 모든 相이 허망하다는 것을 연결해서 ‘모든 相은 사실은 모두 幻’이라고 보는 대승불교입장, 즉 모든 재현 이미지는 사실은 시뮬라크르이미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대승불교의 입장을 알게 된다.


This thesis is projected to study the theory of image in Mahayana Buddhism, focusing on ‘sang(相)’ and ‘hwan(幻)’, which are mentioned in 'Diamond Sutra(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ceeded so far are as the following. Kumarajiva (344-413) translated nimitta, lakṣaṇa, saṃjñāinto ‘sang(相)’. These Sanskrit terms imply different meanings. But Kumarajiva understand something in common. The common feature is image. ‘Sang(相), which is term in ‘Diamond Sutra(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can be translated into image in these modern days. By the way, sang(相) is mentioned by negative viewpoint. But, these negative viewpoint not belong to the whole image but representation-image. Because ‘Diamond Sutra(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viewpoint on image which is ‘hwan(幻)’. ‘Hwan(幻)’ is simulacre-image. In other words, Mahayana Buddism say “no” to represntation-image which is sang(相), but answer “yes” to simulacre-image which is ‘hwan(幻)’. Futhermore, in the viewpoint of Mahayana Buddhism, represntation- image which is sang(相) is producted by simulacre-image which is ‘hwan(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