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되어있다. 첫 번째는 太虛大師의 人生佛教와 印順스님의 人間佛教의 이념을 慈濟와 法鼓山이 계승하여 현대 대만사회에서 이룩한 정토실천의 성과와 의의에 대한 간략한 서술이다. 두 번째는 대만현대불교인 인간정토가 실천한 방향ㆍ사업ㆍ이념에 대해 대만의 불교학자가 내놓은 몇 가지 비판과 반성이다. 세 번째는 대만의 불교학자인 楊惠南교수가 주장하는 인간불교의 이론적 기초에 대해 필자가 제안하는 견해이다. 양혜남은 기본적으로 현재 대만불교가 마음을 중시한 나머지 대상(境)을 경시하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원인으로서는 인간정토 사상이 유가행파의 아뢰야식연기 사상에 기반을 두고 건립하였기 때문이며, 또 『維摩經』 중에 내포되어진 ‘불국토의 청정이 마음의 청정을 이끌어낸다’고 하는 因果性에 대해서 정확한 해석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마음을 중시한 나머지 대상(境)을 경시하는 인간불교의 실천방식을 비판하고, 마음과 대상이 평등한 인간불교관을 주장한다. 그리고 마음을 중시한 나머지 대상(境)을 경시하는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인간불교 이론이 중관의 ‘연기성공’ 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건립되어져야 하며, 유가행파의 아뢰야식연기 혹은 真常心의 여래장사상을 기반으로 건립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불교사상에서 마음청정은 정토사상에서 여전히 우위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대상의 해탈(境解脫)’(국토청정)이 반드시 ‘마음의 해탈(心解脫)’(마음청정)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이와 같은 인과론에 대해 불교경론 중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이 밖에도 필자는 인간불교 사상이 유가행파의 아뢰야식연기를 기반으로 건립되었다는 것을 현대의 심층생태학에서 본다면 양혜남의 주장처럼 ‘아름다운 착각’이 아니라 오히려 ‘아름다운 결합’이라 생각한다.


There are three main parts in this paper: One is to summarize the achievement and the implication of Tzu Chi and Dharma Drum Mountain on Pure Land practice which continues the idea of Buddhism for Human life of Tai Xu and Humanistic Buddhism of Yin Shin in modern Taiwan society. Secondly, this paper discusses some criticism and reflection proposed by Taiwanese Buddhism scholars on the access roads, the accomplishments and the ideas of Pure Land practices in modern Taiwan Buddhism. The final part is my response to Professor ’stheoreticalprinciplesofHumanisticBuddhism. Professor Yang suggests that the trend of the priority of mind over the environment in modern Taiwan Buddhism resulted from basing the Pure Land theoretical foundation on layavijñāna of Yogacara and from failing to interpret correctly the causality between “pure land” and “pure mind” in īrti-śa. Therefore, Professor Yang criticizes the practice of the priority of the mind over the environment and advocates the equality between the mind and the environment in Humanistic Buddhism. Meanwhile, to prevent the priority of the mind over the environment, the theory of Humanistic Buddhism should base on the idea of pratītysamutpāda in Madhyamaka rather than onlayavijñāna of Yogācāra or Tathāgatagarbha doctrine. I argue that purify the mind has high priority than purify the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no any text of sūtra point out that the environment is purified would be cause the mind purified. Moreover, from the viewpoint of , the idea of Humanistic Buddhism based on ālaya vijñāna won’t be a “beautiful mistake” as professor Yang proposed; instead, it is a “beautiful comb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