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齋儀 절차와 성격 분석을 통해 현재 전승되는 5種의 齋를 유형화해 본 글이다. 우선, 현재 전승되는 5種의 齋는 모두 독립된 의식인 것처럼 소개되지만, 실제로는 상주권공재를 제외한 수륙재, 예수재, 영산재, 각배재 4종은 齋를 크게 지낼 경우 절차상 선후관계로 얽혀 있는 하나의 의식이다. 즉 상주권공재는 준비의식인 <시련>, <대령>, <관욕>, <신중작법>과 本 의식인 <영산작법>, 마무리 의식인 <시식>과 <봉송>으로 간단히 행해지지만, 나머지 4種의 齋는 준비의식(시련, 대령, 관욕, 신중작법, 괘불이운)→영산재(영산작법)→각배재(운수상단)→수륙재 또는 예수재→마무리 의식(시식, 회향, 봉송)으로 그 절차가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영산재와 각배재, 수륙재와 예수재는 齋의 절차 중 하나로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여러 유형의 의식을 절차에 모두 포함시켜 대규모로 행하는 齋를 조선조에서는 수륙재라 하였고, 현행에서는 영산재라 하는 듯하다. 둘째, 조선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齋儀 절차의 진행과정을 보면, 齋의 구성은 최소한으로 짧은 구성을 갖는 상주권공재형과 모든 절차를 다 포함하는 수륙재(예수재)형으로 구분된다. 즉 서민들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비교적 쉽게 지낼 수 있는 상주권공재를 제외한다면, 나머지 국가적 차원이나 왕족을 위한 齋는 오늘날처럼 수륙재, 예수재, 영산재, 각배재와 같이 다양하게 존재했었던 것이 아니라, 수륙재라는 의식으로만 존재했었다. 셋째, 5種으로 알려진 齋는 그 절차와 내용에서 모두 영가천도를 위한 것들이 포함되지만, 영가천도의 절차는 수륙재와 예수재에 보다 집중되어 있고, 佛菩薩에 대한 勸供의식은 상주권공재와 각배재, 영산재에 보다 집중되어 있다. 이를 본고에서는 영가천도집중형과 佛事집중형이라 명명하였다.


This is a trial study about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ritual Jae(齋). In recent buddhist ritual tradition, there are five different type of Jae is exist. Until now, we all recognized that the five types of ritual is independent. But in fact, except for the Sangjukwongongjae 常住勸公齋, four of them(Suryukjae 水陸齋, Yaesujae 豫修齋, Yeongsanjae 靈山齋, Kakbaejae 各拜齋) is a part of one big ritual which is inter-related. Sangjukwongongjae ritual is consist of four parts. It starts with preparation part <Siryeon 侍輦>, <Daeryeong 對靈>, <Kwanyok 灌浴>, <Sinjungjakbop 神衆作法> and main part <Yeongsanjakbop 靈山作法> is going on. And it ends with closing part <Sisik 施食>, <Bongsong 奉送>. On the other hand, four other ritual is a part of the one big ritual.(preparation part → Yeongsanjae → Kakbaejae → Suryukjae or Yaesujae → closing part). In other words, except for the Sangjukwongongjae, the other four ritual was not an independent ritual. The name of one big ritual was changed through the time. In Joseon dynasty it was called Suryukjae. Now it is called Yeongsanjae. From Joseon dynasty to present, buddhist ritual has been existed in two version. The first one is a mini version of ritual which is called Sangjukwongongjae. The second on is a big version of ritual which is called Suryukjae(Yaesujae). The mini version is used in public. The big version is used only in court for the royal purpose. Suryukjae and Yaesujae is more frequently used for the ritual like funeral(a ritual for the dead). The other three ritual (Sangjukwongongjae, Kakbaejae, Yeongsanjae) is more likely used for the buddhis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