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아시아 선문학의 출발점은 동아시아 선사상이다. 그리고 동아시아 선사상은 중국 선사상을 모체로 한다. 중국 선사상은 인도불교를 수용하여 새롭게 창안된 중국식 불교로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의 선사상의 본류이기도 하다. 중국문학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영역 가운데 하나가 선과 문학의 관계이다. 특히 선과 관련해서는 문학 가운데서도 시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여 金代의 元好問은 「答俊書記學詩」에서 “시는 禪家에서 수를 놓는 비단이요, 선은 詩家에서 옥을 다듬는 칼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비유는 시와 선이 서로 어우러질 때 그 맛이 더욱 깊어지고 다채로워 지는 것으로, 선과 시는 서로 불가결한 관계에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 동아시아 선문학의 논리의 특징은 卽非의 논리이다. 즉비의 논리는 스에키가 강조하였는데. 스에키는 선사상의 논리적 문제와 체험적 문제를 하나로 엮어서 논리적 문제로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두 차원의 세계를 설명할 때 공통적인 지반, 즉 같은 기준에 의해 판단해야 하는 것으로 논리적이든지 아니면 체험적이든지 같은 양상에 대해선 같은 잣대가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The point of dispute on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 is to be condensed in two questions; One is “Is it reasonable to regard the Chi-nul’s sudden enlightenment/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the other is “Is it sufficient to see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as Wha-um’s WonDonSinHae?”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 hav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sudden enlightenment is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 in common has som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Especially the supporters’view of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show the logical inconsistency and descriptive ambiguity in that they argu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the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assert that the intellectual enlightenment is Wha-um’s WonDonSinHaewhich has the hindrance of intellect simultaneously, And their descriptions of the difference between intellectual enlightenment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 are vague and meaningless. In order to solve the confusion and to read the Suddenness-Gradualness dispute newly, a different way of reading is to be constructed. To form the new way of reading, the proposition that ‘Chi-nul’s sudden enlightenment is the Sen-Literature’s Expression and Logic of East Asian Wha-um’s intellectual enlightenment’must first be re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