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추사의 禪學에 대한 기본인식과 태도는 여타 학문에서처럼 청조 고증학의 연구대상인 실사구시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는 다른 유학자들과 달리 불교에 대해서 배타적인 자세를 취하지 않았지만, 매우 진지하고 치밀했으며 하나의 학문과 사상체계로 대했기 때문이다. 또 당시 선문에서 행해지고 있던 ‘話頭禪’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 대안으로 부처님의 경전인 「안반수의경」을 통해 무상의 묘법을 얻어 禪의 正眼으로 삼을 것을 제시한다. 하지만 추사의 선은 제주도 유배시기를 거치면서 차츰 학문의 지식이 아닌 몸과 마음으로 불교에 귀의하여 스스로 선열과 묘체의 경지에 도달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추사의 선은 진리추구의 한 방편으로써 다양한 의미의 전변을 겪으며 원각처를 찾아가는 ‘圓融無碍精神’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信心의 대표적인 증표라 할 수 있는 추사의 서화작품은 선리의 오묘하고 무한한 이치를 유한한 인간의 언어와 문자로 나타낼 수 없다는 점에서 문자반야라기보다는 실상반야를 체득하라는 신심의 표현이다. 이에 선가에 대한 이해가 폭넓었던 만큼 서화예술에 있어서도 해박하고, 치밀하며, 엄격한 즉, ‘香象渡河精神’으로 이를 고증할 것을 요구한다. 결국 추사의 상생과 不二라는 선가적 핵심의 체득은 생명의 정열과 자비심이 세계 내에 넘쳐흐르기를 기원하는 마음으로 추사의 서화 속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불이선란도> 등 선 사상이 즐비한 작품들로 구현된다.


Chusa's basic recognition and attitude to the doctrine of the Zen sect adheres to empirical tradition which was an subject of historical investigation in Qing Dynasty. Differently from other Confucianists, he does not only take exclusive attitude against Buddhism but also takes very earnest and elaborate mind about it, which was due to his regard about it as an academic and philosophic system. However, he shows very critical mind to meditation(看話禪) that was a prevalent method in the Zen sect, and as an alterative he stressed to forwar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Zen sect through an excellent method of ‘evanescence’ from a Buddhism scripture,「An-ban-shou-yi-jing」. However, it seems that Zen of Chusa has gradually become a man of martyr and cardinal principle by being get out of the academic knowledge and converted to Buddhism spiritually and bodily after his exile time in Jeju-do island. Thus, the Zen of Chusa accompany with the mind of Wonyung-Muye(圓融無碍) as a way of pursuit of truth from meaning variableness. And his Calligraphic writings and paintings, that was representative evidence of his dedication, is not to let people learn with Prajna of Character but to let people learn the Prajna of Nature appearance by experience, because infinite and profound logic of the Zen sect can not be presented by human language. He had extensive knowledge on art of Calligraphic writings and paintings, so a elaborate and strict study from the view of Hyangsang-Doha(香象渡河) is required. Chusa`s experience of the key idea of Zen sect, no difference and co-existence(不二) was reflected in his works such as <Bul-ie-Seon-ran-do> in which shows the idea of the Zen sect. Key Words: Chusa Kim, Jeonghui, Korean Practical Science,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