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론』의 핵심개념인 연기(緣起, pratītyasamutpāda)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중론』 전체의 내용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도록 하겠다. 기왕(旣往)에 『중론』 연기에 대해서는 국내외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있고 그 성과가 축적이 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들과 달리 『중론』 연기에 대해 명제논리(Propositional Logic)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자들이 자연언어를 통해 이루어놓은 연기에 대한 이해의 성과 위에 논의의 정밀성과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제논리라는 인공언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중론』의 연기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의 결과 『중론』 연기는 연(緣)과 과(果)의 존재에 대한 실질적 동치(material equivalence)관계를 가리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이것은 또한 中村元이 『중론』 연기를 ‘법과 법의 논리적 상관관계’라고 했을 때 ‘논리적 상관관계’의 의미가 쌍조건(雙條件, biconditional)으로 표현되는 관계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런 『중론』 연기는 논리적 관점에서 해석한 초기불교의 연기를 계승하고 있는 것이라는 점을 연기공식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결국 『중론』 연기는 명제논리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연이 있다’를 p로 놓고, ‘과가 있다’를 q로 놓을 때 p≡q라는 것이다.


The Mūlamadhyamakakārikā(MMK) is Nagarjuna's best known work.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pratītyasamutpāda(dependent origination) of Nāgārjuna's Mūlamadhyamakakārikā. Utilizing the Buddha's theory of pratītyasamutpāda, Nagarjuna demonstrated the futility of pratītyasamutpāda's ontological speculations. So many scholars have studied on the Pratītyasamutpāda of Mādhyamika Philosophy of Nāgārjuna. And they make a study by natural language. But the study of pratītyasamutpāda by symbolic language or artificial language is more precise and accurate. So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propositional logical analysis. The result of propositional logical analysis on pratītyasamutpāda is that MMK's pratītyasamutpāda is known to a material equivalence of pratyaya (condition) and phala(result). Moreover, ‘the logical interrelation of dharmas’ which is said as definition of MMK's pratītyasamutpāda by Nakamura Hajime(中村元) can be expressed by biconditional. In conclusion, MMK's pratītyasamutpāda can be expressed by propositional logic and the propositional logical form of MMK's pratītyasamutpāda is p≡q(p is ‘pratyaya[condition] exist’, q is ‘phala[result] ex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