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현대사회와 관련해서 일어난 시간관의 변화를 질 들뢰즈의 시간관을 중심으로 다룬다. 외부 기억장치의 발달은 시간을 우리의 기억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는 여지를 넓혀 놓았는데, 들뢰즈는 기억에 관한 베르그손의 이론을 전거로 삼아 이러한 변화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들뢰즈가 말하는 ‘순수과거’는 베르그손의 ‘순수기억’의 확장이고, 그가 내세우는 ‘텅 빈 시간형식’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진 기억의 조작 방식을 미래에 투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들뢰즈는 재현을 넘어서는 시간을 자신의 새로운 반복 개념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데, 이 반복 역시 기억과 결합된 현재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들뢰즈의 견지는 시간에 대한 변화된 체험 방식의 한계를 포착해내는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인간개체는 전체적으로 여전히 비가역적인 시간의 제약 하에 있으며, 늙음과 죽음의 운명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이 글이 레비나스의 논의에, 특히 용서와 관련된 그의 견해에 기대게 되는 것은 이렇게 시간의 폭력을 수용하는 우리의 자세와 관련해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theory of time of G. Deleuze as a philosophical expression of the changes of contemporary society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s of memory devices which have affected our view of time. Deleuze presents three passive syntheses of time: the present of habits, the pure past, and the empty form of time for future. The pure past can be understood as an externalization of the ‘pure memory’ of H. Bergson, whereas the empty form of time as a project of the mode of manipulation of memory, and the present as a contemplation of reality with a recollection of memory. In short, the memory plays a role of model in Deleuze’s theory of time. However, the view of Deleuze seems to be insufficient to comprehend the limits of the changed experience of time. In spite of all changes, we, human individuals, are restricted by the irreversibility of time and obliged to accept the destiny of aging and death. It is in connection to the acceptance of the violence of time that this paper touches the view of E. Levinas, especially the concept of par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