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합의 또는 치안으로서의 정치 개념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치를 감각적 분배를 다루는 미학의 문제로 사유해야 한다는 자크 랑시에르의 논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칸트의 미 개념을 바탕으로 미의 정치를 주장하는 아렌트와 숭고 개념에 기반하여 미학과 윤리학을 개진하는 리오타르의 문제의식이 랑시에르의 사유와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랑시에르의 이론에 비춰볼 때, 세계화 시대에 지배적 윤리로 부상한 인도주의와 그것을 철학적으로 뒷받침하는 리오타르의 ‘타자의 권리’ 개념은 불일치로서의 정치활동을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그의 숭고의 미학은 예술을 윤리화시킴으로써, 저항의 기획과 미적 혁명의 기획이라는 미학의 두 계기 사이에 존재하는 본질적 긴장 관계를 해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이들의 이론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세계화 담론에 윤리적 표상이 개입되면서 발생한 비정치적이고 부정적인 효과들을 비판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politics concentrated on the formal procedure of consensus and the police has limit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o overcome the limits, politics has to be considered as problems of aesthetics that treats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theories of Arendt, Lyotard and Rancière concerning the relation of politics and aesthetics. Arendt proposes aestheticized politics based on Kant's concept of beauty. Lyotard develops the aesthetics and ethics of the sublime. Going a step forward, Rancière proposes the politics of aesthetics. According to him, humanitarianism is becoming a predominant ethics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substituting humanism, and what Lyotard calls ‘Rights of the Other’ sustains it. Rancière thinks that the consequence of Lyotard's theory about it is to remov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dissensus, and his aesthetics of the sublime tends to dissolve the essential tension between two projects of aesthetics, the resistance and the aesthetic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negative and unpolitical effects that are brought about by the intervention of ethical representation into the discourse of glob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