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류는 과거 아시아 지역의 문화현상을 넘어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류 현상은 자명하지만 한류라는 개념도 그만큼 분명한 것은 아니다. 한국을 발신지로 하는 문화라는 의미의 한류는 어떻게 그 정체성을 규정할 수 있을까? 오늘날과 같은 세계화 시대에 문화는 인종, 기술, 자본, 미디어, 정치 등의 접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합의 풍경들 안에서 한류 현상은 순수한 지역성의 표현도 평균적 세계성의 모방도 아닌 세계-지역성을 가지며, 한류도 예외는 아니다. 문화의 세계-지역성이란 위상에서 보면 한류도 내용상 혼종성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가 불분명한 문화 권역 안에서 생성되고 수용되는 문화는 순수성을 갖기 어렵다. 한류의 정체성은 근본적으로 혼종적이지만 그 혼종성의 방향은 모방과 비판적 전유에 열려있다. 한류가 세계화 시대에 지배문화의 모방이 아닌 한국의 현재적 문화를 반영하려면 ‘의도적 혼종’의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의도적 혼종’이란 혼종화과정에서 지배문화와의 차별화를 통해 다양성을 확보하려는 태도를 강조하는 개념이다. 또한 ‘의도적 혼종화’로 나아가려면 국제적 문화교류의 장 안에서 주체의 행위성을 강조하는 ‘비판적 문화횡단’의 태도를 견지해야 한다.


Recently Korean Wave has exerted some influence not only on the traditional Asian culture but also on the current American and European culture. Phenomena of Korean Wave are apparent to us, yet the concept of Korean Wave is not that clear. How, then, can we elucidate the identity of Korean Wave which roughly indicates ‘those cultures that originate in Korea’?In the new global age such as the present era, culture consists of the articulation of race, technology, capital, media, and politics. Viewing from the articulatory landscape, phenomena of Korean Wave are not merely the pure report of locality or the imitation of average globality but rather an occurrence of global-locality. From that point of view, Korean Wave is, especially in its contentful aspect, characterized as ‘mixture’ or ‘hybridity’. Hybridity thus considered is certainly a biological analogy that shows us the influence histories of every culture, but the contents of hybridity differ from each particular generation and region. In this respect, Korean Wave possesses, although it also has some hybridity, the narrative identity that controls or regulates Korean people’s lives in a temporal context. In short, the concept of Korean Wave is defined as a hybrid local culture. Of course the issue as to what the contents of a local culture would look like is dependent upon the attitudes of cultural agents. With respect to this, in order for a hybrid local culture to maintain the locality in the global age, Bakhtin’s idea of intentional hybridity need to be considered in a serious manner. In that respect, only when the critical transculturation that aims to preserve a particularity in the interactive cultural environments proceeds adequately, Korean Wave can be recognized not as a stateless popular culture but as a genuine Korean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