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미국의 사회과 수업에서는 ’아시아‘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아시아에 대한 어떤 지리적 상상력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그러한 상상력 이면에 내재해 있는 아시아 혹은 비서구에 대한 인식론적 틀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 중서부에 있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실 한 군데씩을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탈식민주의를 주요 이론적 관점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아시아는 지리적 구분인 동시에 하나의 문화적 기호로서 상황과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가 두 교실에서 아시아 단원을 구성하는 방식에도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특정한 지역이나 이미지가 아시아에 대한 미국인들의 상상력을 대표하는 한편, 아시아 전반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식민주의적 인식론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세계를 지리적 단위로 구분하고, 각 지역이나 국가가 마치 어떤 통일되고 고유한 문화적 실체를 갖고 있는 것처럼 가정하는 근대적 관행에 대한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이러한 과제가 미국의 학교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의 현안이기도 하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Using post-colonialism as a major theoretical framework, this study investigates how Asia is taught in American classrooms, what kinds of notions and imaginations of Asia are produced, and what socio-cultural assumptions are underlying the curriculum on teachings about Asia. To address these question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econdary social studies classrooms. Major findings show that Asia is more like a symbol than a fixed physical entity, and its meaning varies according to ethnic, historical, cultural, and economic contexts. It also turns out that Japan and China tends to represent Asia while Asians as a whole are likely to be perceived as strange, mysterious and scary peopl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at rethinking how to bring other cultures and societies into school curriculums and how to connect students with people who look different are important tasks not only for American teachers but also for Korean teachers. In particular, it urges that educators need to deconstruct colonial legacies in the curriculum about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