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람들에게 의미가 있는 장소는 그 곳에 존재하는 사람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그래서 연구자는 학생들의 공간을 들여다보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일환으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일상 공간인 운동장의 문화기술을 통해 학교생활의 맥락 속에서 운동장의 공간적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한 중학교의 운동장을 1년간 참여 관찰하였으며, 남녀 학생 4명(남2, 여2)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적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또한 심층인터뷰 외에 개방형 설문지, 수업일지, 연구일지, 각종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Huberman과 Miles(1984)가 제안한 귀납적 자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반복적 수집과 순환적 읽기를 통해 운동장은 첫째, 축구로 운동장을 보려는 왜곡된 그들만의 시선이 있었으며, 둘째, 스포츠가 늘 존재하는 곳에서 신체적 능력으로 겨루면서도 우연으로 승리를 갈망하기도 했다. 셋째, 학교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제도화된 규율과 그 규율 속에서 벗어나려는 몸짓이 공존하였다. 넷째, 학습 공간으로써 기회균등이 주어지면서 성과 신체적 능력, 학년의 위계구조 등으로 차별이 존재하는 곳임을 밝힐 수 있었다. 운동장에 중층적으로 존재하는 학생들의 문화를 기술함으로써 체육수업 공간으로만 이해되는 운동장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크게 넓힐 수 있었다.


The place to give a meaning to person show the identity of the person that exist there. So the researcher tried to take a look the place that students learned, played, and lived in school. Because a particular place shows identity of a pers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spacial meaning of the playground as a daily living space in the context of school lif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made participant observations about a middle school playground situated in a Seoul for an year.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made for four middle school students, two males and two females. In addition to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other data collecting methods such as open questionnaire, teaching journal, research journal, and document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by the method suggested by Huberman & Miles(1984). Research participants have a tendency to watch a playground with their own distorted eyes. They also see the playground as a place where students not only compete their physical ability through sports, but desire to gain the chance of winning the game. Middle school students hav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make every effort to escape institutionalized rules designed to maintain orders of the school. Playground in the school is a place where equal opportunities are given, but then physical and sexual differences exist. There also exist hierarchical structure of grades. This study have contributed to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 playground only as the spa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describing multi-layers of student cultures exiting on the play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