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를 통해 나는 목동의 엄마들이 자녀의 사교육에 집중하는 현상과 목동 유아 사교육의 상황적 구조 및 한계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나는 목동에 살고 있는 두 아이를 둔 아줌마이자 학생으로, 목동 엄마들의 삶 속에서 주체 혹은 객체로 살아가고 있다. 나의 ‘삶’ 속에서 얻은 관찰기록, 목동 엄마들과의 구조화된 혹은 비구조화된 인터뷰 그리고 현지자료를 질적 분석 및 해석하였다. 목동의 사교육은 ①세계화와 영어의 필요성, ②한국 사회 여성의 교육·취업·육아구조, ③한국의 학력·학벌주의라는 대상황, ①사교육 기관의 영향, ②주위의 영향, ③대중매체의 영향이라는 매개상황, ①목동으로의 이주, ②영어 능력의 필요, ③자녀의 특성과 가시적 변화라는 소상황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 과도한 사교육은 존재의 부재(不在)라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아이의 부재, 엄마의 부재, 교사로서의 부모의 부재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개인 부모의 욕심’ 혹은 교육열로 치부되었던 사교육 집중현상을 ‘주체(主體)적 존재의식’의 함양을 통해 재인식할 필요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phenomenon, situational structures and the limitations of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in Mokdong. I am a student as well as a mother with two children living in Mokdong. I am living as a subject (主體) or object (客體) for mothers of Mokdong. Observational records,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Mokdong mothers and local materials which were obtained from 'my life'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Private education in Mokdong entails a macro situation which includes factors such as ① globalization and the needs of English, ② the structures of women's education, employment and childcare in Korean society, and ③ diplomatist and academic snobbism. Then, there are situational factors of ① the impact of private institutions, ② the impact of surroundings, and ③ the impact of mass media. Finally, there are micro situation factors such as ① moving into Mokdong, ② the needs of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③ visibl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urther, excessive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has a fundamental limitation that relates to the absence(不在) of being, which encompasses the absence of child, the absence of mother, and the absence of a parent as a teacher. This paper has a significance in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of oversolicitousness in children´s education, which has been misunderstood as 'the greed of individualist parents' or 'educational fever', and it needs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cultivation of 'independent spirit of subject(主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