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출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경제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대기업에 비하여 전문인력, 자금, 그리고 마케팅 능력 등이 부족하므로 독자적인 수출역량을 갖추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지역 수출중소기업 수출지원제도의 분석을 통해 수출기업입장에서 수출지원제도 활용상의 애로요인과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여 경상북도 수출지원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경상북도내 중소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수출지원제도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혜기업의 선정시 업체 및 업종 및 재무구조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재무상태 및 수출실적을 통한 선정방식에 대하여 불만이 높다. 둘째, 수출지원제도의 전담조직 개설이 필요하다. 수출지원제도 전담조직 구축을 통해 좀 더 효율적인 정책 수립 및 예산 집행이 요구된다. 셋째, 수출지원제도에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보다는 중소기업에 대한 맞춤형 교육으로 인해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으로 중소기업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새로운 수출지원제도의 개발 및 구축이 필요하다. 기존의 수출인프라 구축 관련 수출지원제도의 보강과 함께 세계경제 패러다임과 수혜 중소기업의 국제화 역량정도를 고려한 단계별 맞춤형 수출지원제도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The Korean small-medium exporters has the marketing environment been more complex and subject to change by WTO system and e-Market Place. With these market respective, it is impossible to obtain the strong competitive power in the world market by the efforts of a samll-medium exporters alone. Therefore all countries are supporting to them by export assistance programs. Of course Korea is not the exception.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the export assistance programs for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s well as to suggest export promotion policy for the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 present paper makes an extensive survey about export-support programs conducted by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survey was rigorously made to evaluate export-support programs taken by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Gyeongsangbuk-do and the regional firms' awareness about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