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환율에 대한 신축적 가격결정이론과 경직적 가격이론을 통합한 화폐주의 검증모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자유변동환율제가 도입된 1998년 이후를 분석하였다. 환율에 대한 화폐론적 모델에 기초하여 한국과 미국간의원/달러 환율, 상대적 M2, 상대적 실질 GDP, 이자율차이, 인플레이션 차이를 변수로 하여 벡타오차수정모형으로분석하였는데 공적분 벡터가 1개로 나왔다. 이를 토대로 장기균형상태인 공적분 벡터를 분석하여 환율의 장기적인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과다식별의 문제는 있지만 1998년 이후 한국의 원/달러 환율은 신축적 가격모델에부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is paper on exchange rate analyzed the empirical validity on the monetary model which has two kinds of theories such as the flexible price model and the sticky price model. Korea has had a free floating system since 1998. The quarterly data starting from 1998 was used won-dollar exchange rate, relative M2, relative real GDP, interest rate differential and inflation differential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We investigated the long-run relationship on exchange rates using VECM. Despite of over-identification problem, we found that Korea's exchange rates favors the flexible price model instead of the sticky price model, based on cointegrating v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