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서표현의 억제를 동기화하는 내적 기제로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이 작용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정서표현의 결과나 기능을 어떻게 표상하는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15문항을 최종 선별하여 2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에 대한 신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정서표현의 신념 척도는 ‘도구-관습적 신념’과 ‘정서-관계적 신념’의 2요인 구조로, 기존 연구자들이 제안한 자기보호와 친사회성 관련 신념 외에 파워나 인상 유지와 관련된 넓은 범위의 도구적이고 관습적인 신념들을 포함하였다. 상관 및 회귀 분석 결과 정서표현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이 높은 정서표현갈등, 낮은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성을 유의미하게 설명하였고, 우울과 불안의 적응지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낮은 표현성 자체가 병리적인 것이 아니라, 정서에 대한 부정적 신념이 선행요인으로 작용하여 정서표현의 갈등이나 억제를 유발하고 부적응 지표와 연결됨을 설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의 방향 및 척도의 보완점들은 논의에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Belief about Emotional Expression' on inhibition of emotional expression. In preliminary study, we developed 15 items scale by contents analysis. Factor analysis confirm 2 factor structure; ‘Instrumental- conventional beliefs’ and ‘emotive-relational beliefs’. It not only includes beliefs former theoretical results cover- self protective, prosocial beliefs, but also beliefs like power-work oriented, conventional impress managing beliefs. the Negative beliefs about emotional expression significantly explained ambivalence on emotional expression and low expressiveness together with low emotional awareness. it also show significant co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It means that the scale is reliable and valid and could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ness and wellbeing. Belief on Emotional Expression could be antecedent that make ambivalence and suppression on expression, active supersession could affect emotional adap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