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행복의 관계에서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세~50세의 기혼여성 529명이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 행복의 관계에서 개별성-관계성 발달 수준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경제적 요인과 행복간의 관계가 개별성-관계성 발달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개별성-관계성의 발달은 행복감을 느끼게 하고 개별성-관계성이 높을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의 행복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경제적 요인이 행복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사회경제적 요인이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높은 자아존중감이 행복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혼여성의 행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별성-관계성의 상호적인 발달과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기혼여성의 개별성-관계성과 자아존중감의 발달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socio-economic factors and happiness. The mediating effects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re also be explo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married women’s individuality-relatedness act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ity-relatedness means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factors and happiness differs with the level of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low individuality-relatedness as a vulnerable factor in the onset of happiness whereas high individuality-relatedness as a buffering factor of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Second, it was proved that self-esteem acted as a mediating variable.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means that not only socio-economic factors influences on happiness directly but also socio-economic factors higher self-esteem that leads to happiness subsequently. Therefore, in order to help married women’s to increase their happiness, various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reciprocal development of individuality-relate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