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연애관계에서 나타나는 질투와 질투에 의해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성별과 애착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은 자기 짝의 성적 부정에 대해 질투를 더 많이 느끼는 반면, 여성은 정서적 부정에 질투를 더 많이 경험한다고 가정한 진화론적 질투기제(Evolved Jealousy Mechanism)를 반복검증하고, 성차 내 질투의 조절변인으로 애착유형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대학생 189명(남자 82명, 여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으로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론적 관점의 질투기제 가설이 반복 검증되었으며,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에 미치는 성별과 애착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이런 효과는 남성에게서만 지지되었다. 즉, 불안 애착유형의 남성이 안정 애착 남성보다 연인의 정서적 부정에 대한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통해 애착유형이 질투와 질투 스트레스의 성차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a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sex differences o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in romantic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replicated the Evolved Jealousy Mechanism (EJM) that men will be more upset and distressed by partner's sexual infidelity, whereas women will be more upset and distressed by emotional infidelity, and the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on within-sex differences. To test this purpose, 189 university students (82 males and 10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wo-way ANOVAs were used. As a result, we replicated the EJM and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sex differences o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 but only among men. Consequently, men with an anxious attachment style were more jealous and distressed by partner's emotional infidelity than those with secure style. The most important finding in the present study was that attachment styles would be moderators of within-sex differences in jealousy and evoked distress by jealou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