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관련 이론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부정적 기분 및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를 정서적 과민반응과 정서적 단절이 매개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 및 정서적 과민반응과 정서적 단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소재 8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우선,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단절 및 거절 도식에서 정서적 과민반응을 거쳐 부정적 기분 및 대인관계문제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단절/거절 도식 ⟶ 정서적 과민반응 ⟶ 부정적 기분, 단절/거절 도식 ⟶ 정서적 과민반응 ⟶ 대인관계문제). 즉, 정서적 과민반응은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부정적 기분, 단절 및 거절 도식과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절 및 거절 도식은 정서적 단절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 기분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정서적 단절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On the basis of Jeffrey E. Young's schema therapy, attachment theory and related empirical findings, the present study examined a theoretical model in which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mediated the links betwee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as and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data from 401 college students at 8 universities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Also,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negative mood was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reactivity. The link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emotional reactivity. Unlike expectations, however, emotional cutoff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negative mood or interpersonal problem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nseling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