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섭식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신체비교, 신체불만족의 영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지방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자대학생 238명과 여자대학생 171명 등 총 410명(무응답 1명 포함)이었고, 자아존중감 척도, 신체비교 척도, 체형질문지와 섭식억제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대안모형 2개를 구성하여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이 무엇인지 탐색하였고 최적의 모형에서 개별변수의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자아존중감이 섭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이 부분매개하고 있었으며 부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음으로 섭식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다변량분산분석(MANOVA)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성차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최적의 모형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자대학생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과 섭식억제 사이를 신체비교와 신체불만족이 완전매개하는 모형이 최적의 모형이었으나 여자대학생의 경우에는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최적의 모형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 신체비교, 신체불만족이 섭식억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probes to structurally examine influences of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body dissatisfaction on restrained eat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chosen from university students(N=410/ M=238, F=171, No Response=1) in Korea and they receiv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self-esteem, physical comparison, body shape, and restrained eating scal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 constructed one research model and two alternative models to navigate the most suitable explanation for data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variabl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worked as partial mediation to the effects of self-esteem in restrained eating, and this mediation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xt, we verified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influences of each variables on restrained eating using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 confirmed as results of multiple-group analysis that there was discrepancy in the optimum model for each gender. For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model of physical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working as full med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restrained eating was the most suitable model where as for female students, the research model, a partial mediation model, fitted the best.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 was discussed and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in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