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마음챙김, 역기능적 분노표현(분노억제, 분노표출),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를 살펴보고,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통제하더라도 마음챙김이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에 독자적으로 기여하는지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에 대한 마음챙김 하위요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382명의 대학생들로, 이들에게 마음챙김 척도(박성현, 2006),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KI-K), 비합리적 신념 척도(Jones, 1969)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마음챙김은 분노억제, 분노표출 및 비합리적 신념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결과, 마음챙김은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과 관련성이 높은 비합리적 신념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역기능적 분노표현 양상에 고유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동시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마음챙김 4가지 하위요인 중 탈중심적 주의가 분노억제에 부적으로 유의하게 기여하였고, 탈중심적 주의, 주의집중 및 현재자각 차원이 분노표출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anger-in, anger-out), irrational beliefs and mindfulness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uniquely contributed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fter controlling for irrational belief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sub-factors of mindfulness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We asked 382 college students to complete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Mindfulness Scale(Park, 2005),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and Irrational Belief Test(Jones, 196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indfulness a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between mindfulness and irrational belief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indfulness uniquely contributed to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fter controlling for irrational beliefs.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de-centered attention exhibit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ntribution to anger-in, and that de-centered attention, concentration, present awareness exhibited a significantly contribution to anger-out.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