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형 마음챙김을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심리평가와 행동측정 및 명상유형에 따른 주의의 정신생리학적 반응과 관련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CAMS-R), 주의 망 검사(ANT) 그리고 sLORETA분석을 했다. 자발적으로 실험에 참여한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할당을 하였고 실험집단은 6주간 K-MBSR훈련을 받았다. 연구결과, 심리평가에서 하위척도인 주의는 사전과 사후 기간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했고, ANT 검사에서도 실험집단이 집중적 주의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수용적 주의에서 개선됨을 확인했다. 또한 과제의 실수 정도에서 사전과 사후 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실수의 수가 증가한 반면에 실험집단은 실수의 수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sLORETA 분석에서 실험집단은 모든 뇌 영역이 억제되었다. 마음챙김명상과 집중명상의 비교에서 세타파의 경우, 마음챙김명상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억제가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도피질, 상두정회 및 측두-두정 연접부의 활성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알파파의 경우,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영역에서 활성화되었다. 베타1의 경우, 반대로 통제집단이 실험집단에 비해 활성화되었다. 집중명상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세타와 알파의 감소폭이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갖는 의미를 논의에서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MBSR on attention by CAMS-R, ANT, and sLORETA. Subjects were 25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 K-MBSR practiced in 11 students and they were practiced for 6 weeks. The control group were 14 students. All the subjects had pre-test and post-test with CAMS-R and ANT. EEG was recorded in post-test . In CAMS-R meditation group showed high attention. Also in ANT result meditation group show more lower error than control group and higher performance in receptive attention. In sLORETA analysis, meditation group was lower theta than control group in mindfulness meditation and relatively activity in insula, superior parietal gyrus, and temporal-parietal junction. In alpha meditation group show relatively more activity than control group. But in concentration meditation, meditation group was higher theta than control. Implication for this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final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