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인의 정도를 측정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여 자살, 폭행, 탈영 등의 사고행동 가능성을 예측하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 번째 단계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스트레스 관련 연구들을 개관하고 군대 내 병사의 스트레스 유발요인들을 파악하고 망라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본 연구의 스트레스 모델에 기초하여 총 178개의 예비문항풀을 작성하고, 이들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육·해·공군 병사 1,500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본 조사단계로서,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문항들을 사용하여, 육·해·공군 병사 3,6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87문항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은 스트레스 원인, 스트레스 반응, 사고행동 등의 3개 변인군에 17개 하위척도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진단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군 내부에서 식별된 사고자 집단(육군교도소의 재소자 53명)과 일반 병사집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 병사집단과 사고자 집단 간에는 대부분의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됨으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agnostic questionnaire for Korean soldiers to predict accident-related behaviors such as suicide, physical violence, and desertion from barracks by measuring one's causes and current level of stresses, and stress reactions. To achieve these research purposes, we conducted this study with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we reviewed prior studies on stress which were conducted with civilian samples and identified potential causes of stress in military setting. In the second step, we compose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of 178 items based on our stress model and carried out a pilot study with 1,500 soldiers of Korean Armed forces. With this result, we selected final items for the main study. In the final step,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690 privates who were sampled from Korean Armed forces. Final version of our questionnaire contains 87 items and it is composed with three variable groups which have seventeen sub-scales. In addition, validation of the diagnostic questionnaire was tested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normal soldier group with those from soldiers(N=53) who were prisoned in Army jail by committing in a violation of law.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the prisoned group in most of the sub-scale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Stress Diagnostic Scale is a valid tool in predicting one's possibility of committing in a violation of law or an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