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기조절 능력은 급격한 신체 심리적 변화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발달 과업이며 자기조절의 실패는 행동문제로 연결되기 쉽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남자 청소년 262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의 두 하위영역인 정서조절과 행동조절, 그리고 이들의 외현화, 내재화 행동문제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이 사용하는 재평가와 억제 두 가지 정서조절 방략과 행동문제의 관계에서 행동조절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청소년의 행동문제는 자기보고와 보다 객관적인 행동문제 평가를 위해 담임교사의 보고도 포함하였다. 그 결과 정서조절의 하위 영역인 재평가와 억제 방략에 따라 남자 청소년의 행동조절과 행동문제의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재평가 방략은 행동조절과 정적관계 그리고 행동문제 정도와는 부적관계가 있었으며, 재평가와 행동문제의 관계를 행동조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억제 방략은 남자 청소년의 행동문제 정도와 정적관계가 있었으며, 행동조절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재평가 방략을 사용한 정서조절이 남자 청소년들의 효과적인 행동조절로 이어지며 행동조절이 잘 될수록 행동문제는 더 적게 보고되었다. 그러나 억제 방략의 사용은 행동문제 정도가 더 높은 것과 관련 있는 것은 물론 남자청소년들의 행동조절에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wo aspects of self-regulation- emo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and how they were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among 262 adolescent boys.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behavioral regula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f reappraisal and suppression, and behavior problems. Adolescent self-report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and behavior problems were used. Additionally, teachers reported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Results revealed that reappraisal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havioral regulation,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behavior problems. The behavioral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link between reappraisal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 boys. However, sup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not related to behavrioal regulation but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havior problems. There was no mediational effect of behavioral regul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sup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nd behavior problems. In conclusion, reappraisal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appeared to have a more positive association with adolescent boys' behavioral regulation. Adolescent boys who exercised better behavioral regulation in turn, showed lower levels of behavior problems. However, sup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behavior problems when it was not related to adolescent boys behavioral 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