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마음이론(Theory of Mind)은 타인의 믿음과 의도, 욕구, 지식에 대해 가정하고 이를 통해 타인의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주요한 사회인지 능력이다. 마음이론을 측정하는 다양한 도구가 소개되었으나, 외현적인 언어 단서들이 동시에 제시되거나 혹은 언어기억능력에 의존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사회적 귀인 검사-선다형(Social Attribution Test-Multiple Choice, SAT-MC, Bell 등, 2010)은 즉각적인 도형의 움직임을 통해 의도를 이해하는 과제로 기존의 사회인지 도구들과 차별점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한국형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이, 서양에서 실시된 기존 연구와 동일하게, 한국인에게도 즉각적인 마음이론을 측정하는지를 검토하여, 도구를 한국인 샘플에 적용가능한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의 요인구조와 구성개념을 한국인 샘플에서 반복 검증하여, 추후 다양한 한국인 샘플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 98%의 참여자가 제시된 영상에 즉각적으로 사회적인 귀인을 하였고, 이후 측정한 사지 선다형 문항들이 서양에서 보고한 것과 동일하게 단일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이며, 적절한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은 기존의 마음이론 과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사회인지 영역 중 마음이론에 포함되지 않는 얼굴표정지각 과제와는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연구에서는 사회적 귀인검사-선다형이 임상군의 마음이론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지 검증하는 절차가 요구된다.


Theory of Mind (ToM) is the ability to predict and explain others’ behavior based on the mental representations of their intentions, desire and knowledge. ToM measures have been introduced, however, some concerns such as high dependence on verbal memory or external cues have been raised. Social Attribution Test-Multiple Choice (SAT-MC, Bell et al., 2010) is known to be less reliant on verbal ability or external cues as the SAT-MC assesses participants’ ability to detect and understand the intent of the movement. In the current study, we aimed to translate the SAT-MC into Korean and to evaluate its feasibility and preliminary validity in a Korean sample of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98% of participants made immediate social attributions to the animations of two triangles and a circle, even without external cues. The SAT-MC appeared to have a singe factor structure an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s reported in Western samples. The SAT-MC scor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ose on other ToM measures but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ose on facial affect perception tasks. It is concluded that the SAT-MC would be feasibly applicable to measure ToM of Korean samples. Thus, in future studies,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 SAT-MC measures ToM with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pecific samples with various clinical conditions such as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chizophre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