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한 도시는 시장 활성화와 연계된 도시 주민의 지향이나 실천이 지닌체제이행론적 함의를 검토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이 글은 북한 도시 연구 방법으로 미시적 분석의 중요성과 의의를 기술하고 실제작업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방법적 원칙을 제시한다. 분석 대상으로서도시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할 때 맥락 중심적 비교 방법과 불균등 결합발전의 문제틀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이런 미시적 비교방법에 기초한 분석틀 구성에서 고려해야 할 논점으로 도시의 시장적 관계를 매개로 한 ‘국가 - (시장) - 사회’ 간의 다중적 상호 규정관계와 도시 가구들의 사회 내적 분화 문제를 검토한다. 미시적 연구의 중요 자료원인 탈북자의 북한 거주지역 편중에 따른 자료 수집 및 분석상의 문제를보완하는 것도 북한 도시 연구가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이를 위해 유관 분과학문들의 상호 보완적인 자료 수집·분석 방법의 개발, 인적자료원 활용 방법의 다변화, 도시의 지리적 공간 변형이나 도시들 간 상품 이동 경로의 추적 같은 방법적 보완 작업을 제안한다.


To study North Korea’s cities is useful for explaining the implications of urban marketization. As a city is the microcosm where people are constrained by the state power and reacting to it in their everyday practices, a micro analysis of North Korea’s cities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its system-level transformation. Also these cities have thei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their historical formations. In this context an application of two methods ― a contextualized comparison and the framework of uneven and combined development ― is necessary. This paper argue that on the basis of these methods a reformulation of the multilateral ‘state-market-society’ relations can be made, which would help to explicate to what degree the state’s dominant role can be extended in the urban marketization proces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refugees or questionnaire survey are the principal data collection methods in the studies of North Korea’s cities. The data collected by these methods is useful. However, it should be treated carefully because most of the refugees are ex-residents in the regions near the northern border. It has some biases which reflect geographically specific traits. To solve this problem, the ideas of some methods are proposed in this paper which include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some topics, the application of a quasi commodity chain analysis and the tracing of the transformation in urban physic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