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비대칭전쟁에서 나타나는 결전의 문 제를 군사적 수준에서 분석하고, ‘결전의 회피’와 ‘약자의 승리’간의 관계를 규명한다. 전쟁에서 승 패를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인은‘결전’, 즉 결정적 전역(decisive campaign) 혹은 결정적 전투(decisive battle)이다. 일반적으로 강한 국가가 공격을 하고 약한 국가가 방어를 취한다고 할 때 강한 국가가 약한 국가에 대해 추구하는 결전의 성공여부는 전 쟁의 과정과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준다. 강한 국 가의 입장에서는 결전을 통해 충분한 군사적 성과 를 달성할 때 자국의 의지대로 평화조약을 체결하 고 정치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 할 경우 전쟁은 지연될 것이며 결국에는‘군사력 의 사용’보다는‘어쩔 수 없는’정치적 타협에 의 해 마무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약한 국가는 강 한 국가가 추구하는 불리한 결전을 회피해야 하며, 만일 회피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상대가 결정적인 군사적 성과를 얻지 못하도록 함으로써‘희망의 불씨’를 살려 놓아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문 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 가설(hypotheses)을 구성하고 중일전쟁의 초기전투와 중국내전을 연구 함으로써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군사 력 균형이 불리한 상황에서의‘결전회피’는‘약자 의 승리’를 위한 필요조건임을 입증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avoidance of decisiveness’and ‘the weaker’s victory’in an asymmetric war. The crucial factor for the result of war is “decisive warfare,”that is decisive battle or decisive campaign. Supposing that the stronger generally attacks and the weaker defends, whether the stronger’s decisiveness against the weaker’s military succeeds or not would produce serious impact on the process and the end of war. The stronger, only with enough military achievements from such decisive warfare, can conclude peace treaty with the weaker on its own terms and attain political aims. Without such military success, the stronger cannot but be dragged into the protracted war and has to end the war with unwilling political compromise with its enemy. The weaker, therefore, should avoid the unfavorable decisive warfare that the stronger pursues, and, if impossible to avoid it, should frustrates the stronger not to achieve enough military success, thus keeping “the hope” alive. I will set some theoretical hypotheses and testify them analyzing two cases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Chinese Civil War. My argument is that the weaker’s avoidance of decisiveness under unfavorable situation is the necessary condition to win the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