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59년 12월부터 1984년까지 실시된귀국사업을 재조명하는 연구로서 귀국사업에 내재된 북한의 경제적 의도를 규명하고 귀국사업이북한 경제체제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그 결과를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귀국사업과 관련된연구는 많으나 귀국과정이나 피상적인 측면에서북한의 정치경제적 의도를 규명하는 선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나마도 귀국사업만을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적으며 그것도 국내보다는 일본에서 연구가 더 활발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 정치학과 국제정치학 분야에서 귀국사업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따라서 이 글은 기존 귀국사업 연구에서 빠져 있는 부분을 북한과 일본자료 및 인터뷰자료를 활용하여 찾아내고 귀국사업에 깊숙이 개입한 북한의 경제적 의도와 귀국사업의 경제적 결과를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귀국사업은 북한이 당시 당면한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인 경제처방이었음을 밝힌다. 귀국사업을 재조명함으로써 북한 경제체제의 취약성의 여러 근원 가운데 하나를 찾아낼 수있을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homecoming project of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1959through 198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conomic intentions of North Korea relating to the homecoming project and its impact on the North Korean economy. Though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North Korean project, they mainly dealt with processes of homecoming or superficial aspects of its political and financial intentions. There are a few cases focusing only on homecoming itself. Mos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Japan rather than Korea. Therefore, it is not so easy to find research on this subject in the fiel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This study searches for the missing parts of the homecoming project through a number of interviews and documents found in Japan and North Korea to understand the economic intentions of Nor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one of the main goals of North Korea in the homecoming project was to overcome its economic crisis at the time the project was plan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