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s part of an effort to redefine the identity of North Korean studies,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i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South Korea prior to 2008. The analysis verifies its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as an area studies, diversity of research areas and subjects,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as such, effective management of the related department and systematic activities of relevant scholarly societies provide a new opportunity for systematically improving the quality of North Korean studies. Establishing roots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and establishing its identity requires advancements in three aspects: vitalization and expansion of support for North Korean studies at the government level, long-term support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related curriculum at the university level, and revitalization of the research on more various areas by the academic needs at the academic level. Most importantly, efforts to reduce perception gaps in identity among scholars are vital.


본 연구는 북한학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08년까지 한국에서 발간된 석·박사논문 중 북한관련 연구의 경향, 특히 학위수여기관을 중심으로 한 양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관련 학과의 효과적인 운영과 관련 학회의 체계적인 활동이 북한학의 질적 발전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전제하고, 본 연구는 먼저 북한학의 지역연구로서의 학제적 접근 방법과 연구분야 및 주제의 다양성, 그리고 연구의 질적·양적 발전을 확인하고 있다. 북한학이 정체성을 확립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확고히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체계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첫째는 북한학의 활성화와 확대를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지원, 둘째는 관련 교과과정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학교 차원에서의 장기적인 지원, 셋째는 연구자 차원에서 학문적인 요구에 의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연구의 재활성화 노력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북한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북한학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좁히는 것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