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독일통일 과정에서 전면적인 수상리더십 발휘를 가능하게 하였던 몇 가지 제도적·구조적 요인을 고찰하였다. 무엇보다도 정당정치적인맥에 기반한 최측근 세력의 비공식적 논의구조를 핵심으로 하는 콜 수상의 통치방식, 그리고 통일정책을 독점하였던 수상청의 조직적·인적 자원은 콜 수상이 효과적으로 통일정책 이슈를 선점하고 주도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그러나독일 정치체계의 합의민주주의적 성격 및 정당국가적 성격은 이러한 수상 리더십의 극대화를 제한하는 구조적·제도적 맥락을 형성한다. 즉, 콜 수상의 흡수통일안은 십 여 년에 걸쳐 구축된 기민련 내의 당내 역학구도, 기민련의 공식적·비공식적 네트워크 장악, 당시 기민련/기사연/자민련 연정구도 내부의 협력과 사민당, 녹색당의 무력화라는 다양한 구조적 조건 하에서 비로소 현실화될수 있었다. 위와 같은 정책결정과정의 제 요인들은 독일통일이 표면적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극히 미시적이고 우연적인 산물이기 보다는 수상리더십과 정당정치 메커니즘 간의 복합적인 국내정치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가능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deals with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mechanism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ulfillment of German reunification led by Chancelor Kohl. Especially, an analysis of the interactive process between the two factors of Chancelor leadership and party politics, explains how the German reunification-by-absorption could be realized, despite the fact that no political group intended it and that no one considered it a realistic goal. The Chancelor leadership, institutionalized in the German Constitution, could effectively influence the decision process of German politics, especially in combination with the personal leadership style of Helmut Kohl and organizational resource of Chancelor Ministry. The mechanisms of party politics are analyzed in two different aspects, the internal power relations within CDU and the constellation of coalition. The absolute dominance of Helmut Kohl in the internal power relations within CDU and the CDU/CSU/FDP coalition, has provided favorable conditions for fulfilling Kohl’s purpos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German reunification, often regarded as a product of historical coincident, is actually a product of long-term interactions between the major actors’intention and the institutional con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