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데이비드 흄은 ʻ공감(sympathy)ʼ을 중심으로 인간 본성적 도덕론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것으로 평가된다. 공감 개념은 흄의 공감도덕론 전반을 좌우하는 핵심 개념이다. 최근까지도흄의 ʻ공감ʼ 개념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그 쟁점은 공감이 ʻ작용ʼ의 측면과 ʻ감정ʼ의측면으로 상이하게 쓰이는지, 과연 흄에게서 ʻ공감ʼ 원리의 메커니즘적 성격이 후기 저작에서사라지는지 여부에 있다. 이 글은 이 쟁점의 검토를 위한 방편으로 먼저 흄의 공감 개념이 섀프츠베리나 허치슨의 도덕감각론을 어떻게 계승하고, 공감도덕론으로 발전해 왔는지 여부를살펴보았다. 검토 결과 후기 저술에서 흄은 『논고』에서 차별화하려고 시도했던 섀프츠베리와허치슨의 ʻ감정작용ʼ으로서의 공감 개념과 상당히 유사한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었다. 흄이 공감의 작동원리로 주장했던 ʻ상상력ʼ의 철회는 흄에 내재하는 공감 개념의 표면적 차이를 발생시킨 본질적 문제라 할 수 있다. 섀프츠베리와 허치슨의 도덕감각 또는 내감이론이 인간에게보편적으로 내재하는 도덕적 감각의 차원을 조명함으로써 인간본성적 도덕론의 진전에 기여했다면, 흄은 이러한 스코틀랜드 도덕철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감정의 작용원리로서 공감 개념에 천착함으로써 도덕적 판단의 보편적 토대를 확장하는데 기여했다.


It is well-known that sympathy is the important notion to explain the moral instinctever since the philosophy of scottish enlightenment. This research is an introduction tothe modern debate on the subject of ʻmoral senseʼ and ʻsympathyʼ, since the 18thcentury scottish enlightenment philosophy. The individualism of the eighteenth centuryowed its distinctive character to the fact that is was based on a logic derived fromthe exact sciences. But striking change is the ethical or moral theory of Hume basedon a sympathy. The concept of sympathy plays a central role in Humeʼs moralphilosophy. Sympathy has been most thoroughly analyzed as the central construct inhis moral sense theory of ethics, following Shaftesbury and Hutchson. Shaftesbury andHutchson insisted that the ʻother-regardingʼ impulse - including, of course, pity,compassion, sympathy - are an essential part of human nature. Hutchson developedShaftesburyʼs concept of the ʻmoral senseʼ and made it a natural sense on the samelevel with the other five senses. Throughout Humeʼs account of sympathy is not apassion, it is merely the conversion of an idea of anotherʼs passion into the passionitself. The important point is that Hume conceives of sympathy as a principle offeeling-communication. This study emphasizes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e’s‘Sympathy’ and Shaftesbury & Hutchson’s ‘Moral Se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