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전소설의 환상성은 텍스트에 서술된 초현실적 사건에 대해 독자가 대상세계를 멀게 느끼거나 가깝게 느끼는 심리적 원근감에서 생성되는 효과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환상성을 창출하는 서술기제를 통해 환상성의 자질을 세분화하고 서사논리와 인식적 기반이 무엇인가 하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초현실적 인물을 전경화하는 서사에서는 대상세계에 대한 인물과 서술자의 이중적 태도가 드러나고 여기서 기이성이 창출된다. 초현실적 공간을 전경화하는 서사에서는 인물과 서술자의 관찰자적 태도에 의해 경이성이 창출된다. 또한 초현실적 예언을 전경화하는 서사에서는 인물과 서술자의 외경적 태도가 두드러지고 신이성이 창출되며, 초현실적 능력을 전경화하는 서사에서는 인물과 서술자의 대상세계에 대한 우위적 태도에 따라 유희성이 창출된다. 결국 이러한 다층적인 환상성의 자질은 현실과 초현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며 이것을 어떻게 서술하는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서사 밖의 작가가 서사 내의 인물과 서술자의 지각과 서술을 통해 독자의 반응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ategorize characteristics of the fantastic and analyze their cognitive basis by studying the explanatory recordings that possess the fantastic. In descriptive works that emphasize supernatural characters, dualistic attitudes of the characters and the narrators over the target world are evident. As such, strangeness by peculiarity can be seen. In descriptive works that emphasize supernatural spaces, observatory attitudes of the characters and the narrators are evident. As such, strangeness by wonderfulness can be seen. Also, in descriptive works that emphasize supernatural prophesies, reverent attitudes of the characters and the narrators are evident. As such, strangeness by mysteriousness can be seen. In descriptive works that emphasize supernatural powers, predominant attitudes of the characters and the narrators over the target world are evident. As such, amusement can be seen. Such a diverse range of the fantastic is a result of psychological distance the reader perceives from the text.